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316
한자 蔑致
영어공식명칭 Engraulis japonicus
영어의미역 Anchovy
이칭/별칭 행어,멸어,멸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영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동물
학명 Engraulis japonica
생물학적분류 동물계˃척삭동물문˃조기어강˃청어목˃멸치과˃멸치속
서식지 수심 0~200m 정도의 대륙붕 해역
몸길이 10~20㎝
새끼낳는시기 봄과 가을 두 차례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연근해에서 어획되는 멸치과의 바닷물고기.

[형태]

멸치의 몸길이는 10~20㎝로 작으며, 그 생김새가 늘씬하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훨씬 짧고, 양턱에는 미세한 이빨이 있다. 몸빛은 등 쪽이 암청색이고, 배 쪽은 은백색이다. 비늘은 크고 엷어 떨어지기 쉽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멸치가 조선 시대 후기부터 대량으로 어획되고 있었음은 문헌 자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와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 의하면 “동해에서 산출되는 멸치는 방어 떼에 쫓겨 대량으로 몰려온다. 어부가 이를 큰 그물로 둘러싸면 온 그물이 온통 멸치이므로 방어를 골라 낸 후에 남은 멸치는 모래사장에 말려 판매하는데 전국에 넘쳐흐른다”라고 하였다. 이처럼 멸치는 먹이사슬의 하위 그룹으로 다른 어종의 움직임을 유추할 수 있는 어종이다. 지방 함량이 높아 잡으면 금방 죽어 쉽게 부패가 일어나므로 말리거나 젓갈로 이용한다. 멸치는 단백질과 칼슘 등 무기질이 풍부해서 특히 발육기의 어린이나 성장기의 청소년, 임산부들에게 좋은 생선이다. 멸치는 행어(行魚), 멸어(蔑魚), 멸이라고도 한다.

[생태 및 사육법]

멸치는 연안 회유어(回游魚)로 우리나라의 전 연안에 분포하는 다획성(多獲性) 어종이다. 주로 수심 200m 이내 대륙붕 해역상의 표층에서 수심 10m층 내외에서 생활한다. 거의 한 해 동안 산란기를 거치지만, 보통 봄가을에 수심 20~30m층에서 밤중에 산란한다. 먹이는 동물성 플랑크톤을 주로 섭취한다. 전 세계적으로 멸치속 어류에는 8종이 알려져 있다. 수명은 1년 반 정도이다.

[현황]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있는 대변항은 우리나라의 멸치 어획량의 60%를 차지해 멸치의 항구라 불린다. 멸치는 지방질이 많은 산란 직전의 초봄과 가을철이 제철이다. 따라서 어획량이 많은 매년 4월이면 대변항 일원에서 기장 멸치 축제가 열린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1.04.05 수정 항목명 멸치->기장 대멸치[멸치]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