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남해안아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280
한자 南海岸亞區
영어의미역 Southern Coast Plant Zone of Korea Steamed Anglerfish
분야 지리/자연 지리,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현미

[정의]

식물상을 한반도에서 지리적으로 구분할 때 부산광역시가 속한 구계.

[개설]

한반도의 식물상은 식물 지리적 구계(區系) 구분으로 볼 때 동아시아의 일부로서 동아 식물 구계(東亞植物區系) 또는 중일 식물 구계(中日植物區系)에 속한다. 동아 식물 구계[중일 식물 구계]는 기후대에 따라 난대아구(暖帶亞區)·온대아구(溫帶亞區)·한대아구(寒帶亞區)로 구분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 도서들과 부산, 전라남도 목포를 연결하는 선의 남부 연해 지역은 난대아구에 속하고, 한라산과 지리산, 중부와 북부 지방의 고산 지대 등은 수직 분포상으로 한대아구에 속하는데, 이들 지역에는 주로 한대성 침엽수가 주요 수종을 이룬다.

이들 지역 외의 한반도의 대부분은 온대아구에 속하며, 온대아구는 6개의 구로 세분된다. 이 중에서 한반도의 식물대(植物帶)는 한국구(韓國區)로 구분되며, 한국구에는 금강인가목·개느삼·미선나무·금강초롱·모데미풀 등의 특산종이 많다.

한편, 우리나라의 식물대는 함경남도 원산과 황해도 장산곶을 연결하는 선의 북쪽을 북부(北部), 경상북도 영일만과 충청남도 태안반도를 연결하는 선의 남쪽을 남부(南部), 북부와 남부 사이를 중부(中部), 그리고 제주도와 울릉도를 독립시켜 5구로 구분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각 지역의 식물상과 분류군의 분포 지역 등을 토대로 하여 종전의 북부를 갑산아구(甲山亞區)·관북아구(關北亞區)·관서아구(關西亞區)로 구분하고, 또 남부 중 부산과 목포를 잇는 연해 지역을 남해안아구(南海岸亞區)로 분리시켜 8개구로 세분하고 있다.

[부산의 식생]

8개 아구 중 부산은 남해안아구로 부산과 목포를 잇는 연해 지역과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남해안의 도서들이 여기에 속하며, 가시나무 종류와 새우나무·돈나무·붓순나무·녹나무·참식나무·실거리나무·팔손이 등 상록 활엽수가 대표적인 식물이다.

하지만 부산의 일부 지역은 중부아구와 남해안아구의 사이 지역인 남부아구에 속하는데, 이 지역은 개비자나무·푸조나무·꾸지뽕나무·예덕나무·감탕나무·나도밥나무·동백나무·마삭줄 등이 대표적인 식물이다. 즉, 부산은 전체적으로 남해안아구와 남부아구의 식생이 같이 나타나는 곳이 많아 두 아구대에 접해 있는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부산광역시 북구의 구목이자 영도구·중구·해운대구의 구화로 지정되어 있는 동백나무가 부산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남해안아구 식물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