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263 |
---|---|
한자 | 管束植物 |
영어의미역 | Tracheophytes |
이칭/별칭 | 관다발 식물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현미 |
[정의]
부산 지역에서 자라는 관속 식물.
[개설]
부산광역시는 식물 지리적 구계(區系) 구분으로 볼 때 남해안아구(南海岸亞區)와 남부아구(南部亞區)의 특성을 갖고 있는 지역이다. 또한 삼림대를 기준으로 구분할 때에는 한국 본토의 남단으로 대한 해협을 건너 태평양과 접해 있어 해양의 영향을 받아 해양성을 띤 온난한 지역으로 난온대 삼림대(暖溫帶森林帶)에 속해 난대계 식물이 풍부하다. 그러나 부산은 시역(市域)이 좁고 높은 산이 없으므로 식물상(植物相)에 수평적·수직적 분포상 차이가 없으나, 난대계 식물에서 온대계 식물, 그리고 한대계 식물에 이르기까지 고루 분포하는 식물의 부고(富庫)라고 할 수 있다.
[부산의 관속 식물]
관속 식물(管束植物)은 관다발 식물이라고도 하며, 관다발이 있는 식물군을 말한다. 부산광역시에 서식하는 관속 식물은 3문 6강 44목 140과 545속 1,068종 1아종 185변종 30품종으로 총 1,284종류가 나타나고 있다. 이 중 양치식물[Pteridophyta]은 15과 37속 78종 8변종으로 총 86종류가 출현하였으며, 겉씨식물[裸子植物, Gymnospermae]은 5과 11속 15종이 확인되었다.
속씨식물[被子植物] 중 외떡잎식물[單子葉植物, Monocotyledoneae]은 18과 110속 222종 38변종 1품종으로 총 261종류, 쌍떡잎식물[雙子葉植物, Dicotyledoneae]은 갈래꽃 식물과 통꽃 식물로 다시 구분되는데, 갈래꽃 식물은 71과 241속 477종 1아종 81변종 14품종으로 총 573종류, 통꽃 식물은 31과 146속 276종 58변종 7품종으로 총 341종류로 구분되었다.
부산 지역에서 나타나는 난대계 상록 활엽수로는 식나무·동백나무·사스레피나무·보리밥나무·자금우·광나무·마삭줄 등이 있으며, 부산 지역의 해안 식물로는 갯잔대·해변싸리·갯메꽃·순비기나무·털머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