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245 |
---|---|
한자 | 加德島柚子 |
영어의미역 | Citron in Gadeok Island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식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가덕도 선창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현미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가덕도에서 재배되는 유자.
[형태]
유자나무는 상록 활엽 관목으로 높이 3~5m까지 자란다. 가지에 길고 뾰족한 가시가 있으며, 잎은 단신 복엽(單身複葉)[잎사귀가 하나여서 단엽(單葉)과 같으나, 입 꼭지에 마디가 있음]으로 잎자루에 넓은 날개가 있다. 열매는 등황색으로 10월에 익는다. 가덕도 유자는 다른 지역보다 과실이 크고 향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생태]
유자나무는 중국이 원산지로 햇볕이 강한 곳을 좋아하며, 내건성(耐乾性)이 강하다. 토심이 깊고 배수가 좋은 토양에서 잘 자라며 공해에는 보통이다. 이러한 생태적 특성 때문에 유자나무는 난대 지역인 남부 지방에서 식재되어 재배되고 있다. 가덕도의 자연 환경은 유자나무가 자랄 수 있는 생태적 특성을 지닌 곳이다. 지리적으로 남부 지방의 섬 지역이며, 기후·온도 등이 유자나무가 자라기에 적합하여 재배적지에 해당한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유자는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독특한 향기가 있어 차로 많이 애용하며, 기침 등의 의약용으로도 이용한다. 그리고 신맛이 강하고 향기가 좋아 요리할 때 입맛을 돋우거나 향을 내는 데 사용한다. 가덕도에서는 유자청 등으로 가공하여 유자 판매 외의 농가 소득을 창출하고 있어서 가을이 되면 선창 마을 주변은 유자 향기로 가득하다. 가덕도를 중심으로 부산광역시 강서구에서는 2011년 5.8㏊에서 81t의 유자를 생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