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9182 |
---|---|
한자 | 尾浦- |
영어의미역 | Mipo Villa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미포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주영택 |
성격 | 자연 마을 |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동래군 남면 중동이 됨 |
변천 시기/일시 | 1942년 - 동래군 남면 중동에서 부산부 수영출장소 중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3년 - 부산부 수영출장소 중동에서 부산시 해운대출장소 중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부산시 해운대출장소 중동에서 부산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중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중동에서 부산직할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중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0년 - 부산직할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중동에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중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중동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으로 개편 |
자연 마을 | 미포 마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미포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미포(尾浦)에 자리하고 있어 미포 마을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미포는 해운대 동북쪽에 자리 잡은 와우산(臥牛山)[높이 183m로 장산에서 내려다보면 소가 누워 있는 것같이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의 꼬리 부분에 해당되는 갯가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미늘, 미암(尾巖)이라고도 불렀다.
[형성 및 변천]
미포 마을의 정확한 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현재 인동 장씨(仁同 張氏) 남산파 11세손이 살고 있으며, 임진왜란을 전후해 파평 윤씨(坡平尹氏)·경주 김씨(慶州金氏)·단양 전씨(丹陽田氏)가 입향하였다고 전한다. 마을은 조선 후기 동래군 동하면(東下面)에 속하였고, 1914년 남면 중동리 미포 마을이 되었다. 1942년 부산부 수영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53년 해운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57년 동래구 해운대출장소로 개편되었다. 1980년 동래구 해운대출장소가 해운대구로 승격하였고,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미포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미포 마을은 와우산의 서쪽에 자리하고 있다. 마을의 남쪽은 바다와 접한다.
[현황]
미포 마을은 해운대구 중 1동 10~11통에 속하는 지역으로, 미포 교차로에서 오른편으로 내려가 동해 남부선 철로 밑 해안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마을의 북동쪽으로 달맞이길이 지나가고 마을 내 해안가를 따라 동해 남부선 철도가 지나간다. 마을 남동쪽으로 소규모 어항인 미포항(尾浦港)이 있고, 미포항 주변으로 횟집 50여 군데가 자리한다. 주민의 대부분은 어업 또는 상업에 종사하고 있다.
미포항에는 해운대 앞바다를 지나 동백섬을 돌아보고 이기대를 거쳐서 신선대와 오륙도를 일주하는 해운대 관광 유람선이 정박하고 있다. 미포항에서 800m 떨어진 지점에는 해운대 APEC 등대가 서 있다. 본래는 허리덤[바닷물이 들면 허리만큼 차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암초가 있었는데, 2005년 APEC 정상 회의를 기념하여 등대를 세웠다. 주민들은 매년 음력 10월 보름부터 5일 동안 풍어제 별신굿을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