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9035
영어의미역 Naritgga Village
이칭/별칭 나루 마을,진변(津邊) 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나릿가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주경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부산부 사중면 영선리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25년 - 부산부 사중면 영선리에서 부산부 사중면 영선정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4년 - 부산부 사중면 영선정에서 부산부 사중면 항정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7년 - 부산부 사중면 항정에서 부산부 봉래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49년 - 부산부 봉래동에서 부산시 봉래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1년 - 부산시 봉래동에서 부산시 영도출장소 봉래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57년 - 부산시 영도출장소 봉래동에서 부산시 영도구 봉래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부산시 영도구 봉래동에서 부산직할시 영도구 봉래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영도구 봉래동에서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으로 개편
자연 마을 나릿가 마을 -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 나릿가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영도와 육지를 잇는 나루터 주변에 있던 마을이라 하여 나릿가 마을, 나루 마을, 진변 마을이라 불렀다.

[형성 및 변천]

영도 다리가 가설되기 전에는 뭍[중구 지역]과 절영도를 잇는 구실을 나룻배가 담당하였고 그 나룻배가 닿는 곳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 절영도에 나룻배가 처음 등장한 것은 1890년(고종 27)으로, 조선인을 위해 중구의 옛 시청 쪽[착평 공사 전 용미산 아래이며 현재의 롯데 백화점 광복점 자리]과 봉래동 부산 대교 아래쪽에 뱃나루[1981년 준공된 부산 대교 굴강 아래 중기선 나루 근처로 추정]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에는 나룻배가 4척으로 증가할 만큼 육지와의 교통이 빈번하였다.

나릿가 마을은 이와 같은 나루터에 인접하여 형성되었는데, 마을은 1914년 부산부 사중면 영선리에 속하였으며, 1925년 영선리가 영선정(瀛仙町)으로 개칭되었다. 1934년 영도 다리가 개통되며 나룻배는 운항을 중지하게 되지만, 영도 다리와 인접한 마을은 창고와 공장, 항만 관련 업종이 집중하며 일제 시대부터 사창(私娼)이 번성하였으나, 상업과 주거 시설이 밀집하게 되어 옛 마을의 흔적은 사라졌다.

1944년 영선정이 항정(港町) 1정목·항정 2정목·항정 3정목·항정 4정목·항정 5정목으로 개편되었다가 1947년 일본식 동명을 개칭하며 봉래 1동·봉래 2동·봉래 3동·봉래 4동·봉래 5동이 되었다. 1949년 부산부가 부산시로 승격하고, 1951년에는 영도출장소가 설치되어 그 관할이 되었다. 1957년 영도출장소가 영도구로 승격하였다. 1963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하였으며, 1995년에는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하여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나릿가 마을영도의 북단에 위치하여 북쪽으로는 바다를 통해 중구와 마주하고 있으며, 주변은 평지이다.

[현황]

나릿가 마을이 있던 지역에는 현재 중구와 연결된 부산 대교가 가설되어 있으며, 주변은 공장과 상업 시설 및 주거지가 밀집한 영도의 관문으로 변모하였다. 옛 마을의 흔적은 찾을 수 없으나, 마을이 있던 부두 길을 봉래 나룻길로 명명하여 그 위치를 짐작하게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