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기찰 마을[덕천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826
한자 譏察-德川洞-
영어의미역 Gichal Village[Deokcheon-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기찰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890년대 -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06년 -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에서 동래군 좌이면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10년 - 동래군 좌이면에서 부산부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부산부에서 동래군 구포면 덕천리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43년 - 동래군 구포면 덕천리에서 동래군 구포읍 덕천리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63년 1월 - 동래군 구포읍 덕천리에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덕천동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75년 -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덕천동에서 부산직할시 직할 북부출장소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78년 - 부산직할시 직할 북부출장소에서 부산직할시 북구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83년 10월연표보기 - 덕천동이 덕천 1·2동으로 분동
변천 시기/일시 1992년 9월연표보기 - 덕천 1동이 덕천 1·3동으로 분동
상세 주소 기찰 마을 -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302~314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에 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기찰(譏察)은 왕래하는 통행자를 검문하는 한편, 상인들의 물품을 조사하는 검문소로, 기찰 마을은 조선 시대 이곳에 구법곡(仇法谷) 기찰이 있어 붙여진 지명이다.

[형성 및 변천]

기찰 마을의 명확한 형성 시기는 확인되지 않지만, 구법곡 기찰과 관련된 마을이기 때문에 비슷한 시기로 추정할 수 있다. 구법곡 기찰은 조선 초기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후 설치와 폐지가 거듭되다가, 1713년(숙종 39) 왜인과 지방민의 잦은 접촉으로 늘어난 밀수품 단속과 잠상(潛商) 엄금을 위해 개건되었다. 『동래부지』[1740] 관해조에 “구법곡 기찰은 4칸이며 동래부에서 서쪽으로 20리의 양산 땅에 있다[仇法谷 譏察 四間 府西二十里 梁山地]”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양산군지』[1986]에 “구법진 나루터는 기찰에서 잠상을 단속하기 위한 배를 정박시켰던 곳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기찰 마을은 강변 마을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짐작케 한다.

기찰 마을이 속한 지역은 1906년 경상남도 양산군 좌이면에서 동래군 좌이면으로 개편되었다가, 1910년 부산부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군 구포면 덕천동이 되었다. 1943년 구포읍으로 승격되어 동래군 구포읍에 속하였다가, 1963년 1월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덕천동이 되었다. 1975년 부산직할시 직할 북부출장소에 편입되었고, 1978년 북구로 승격되었다. 1983년 10월 덕천동덕천 1동덕천 2동으로 분동되었고, 1992년 9월 덕천 1동덕천 1동덕천 3동으로 분동되었다.

[자연 환경]

기찰 마을은 동쪽으로 금정산백양산 사이의 만덕 고개가 있으며, 마을의 북쪽에는 의성산이 있다. 동쪽 금정산에서는 남문 계류에서 발원하여 만덕동을 지나는 덕천천(德川川)이 마을을 지나 낙동강으로 합류한다.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샛강은 배가 드나들었으며, 기찰강이라 불렀다.

[현황]

기찰 마을은 현재 남해 고속 도로 진입로가 개설되고 학교와 주택지가 들어서면서 옛 흔적은 찾을 수가 없다. 이 지역에는 덕천 2동 주민센터, 덕성초등학교, 덕천중학교, 북구 실내 빙상장, 북구 낙동문화원 등이 있으며, 서쪽으로 금곡로도시 철도 2호선이 지나고, 남쪽으로는 만덕로도시 철도 3호선이 지난다. 다만 기찰 마을이 있던 골목길을 기찰로로 명명하여 옛 흔적을 알게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