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572
한자 佐川-佐川里-
영어의미역 Jwacheon Village[Jwacheon-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 좌천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맹인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599년 - 울산군 하미면 좌촌 마을
변천 시기/일시 1653년 - 울산군 하미면 좌촌 마을에서 기장현 중북면 좌촌방으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660년 - 기장현 중북면 좌촌방에서 울산군 하미면 2동으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681년 - 울산군 하미면 2동에서 기장현 중북면 좌촌방으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895년 5월 26일 - 기장현 중북면 좌촌방에서 기장군 중북면 좌천동으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기장군 중북면 좌천동에서 동래군 장안면 좌천리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동래군 장안면 좌천리에서 양산군 장안면 좌천리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5년 10월 1일 - 양산군 장안면 좌천리에서 양산군 장안읍 좌천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3월 1일 - 양산군 장안읍 좌천리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로 편입
상세 주소 좌천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 128-4 일대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 있었던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옛 이름은 좌촌(佐村) 또는 자천, 자촌이라고 불렀다. 좌천(佐川) 마을[좌천리]의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먼저 좌천이 성내(城內)의 옛말인 ‘잣안’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다음으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으로, 마을이 좌광천과 인접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좌천 마을은 5~6세기 분묘군이 있어 취락의 형성 시기가 오래되었음을 짐작하게 하나, 『기장군지』에 따르면 1599년 울산군 하미면의 좌천 마을을 확인할 수 있다. 1653년 기장현 중북면 좌촌방(坊)이 되었다가, 1660년 다시 울산군 하미면 2동에 속하였으며, 1681년 6월 기장현에 복속되어 중북면 좌촌방이 되었다. 1895년 5월 26일 현이 군으로 개칭됨에 따라 기장군 중북면 좌천동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군 장안면 좌천리가 되었다가, 1973년 7월 1일 양산군으로 편입되었으며, 1985년 10월 1일 장안면이 읍으로 승격됨으로써 장안읍 좌천리가 되었다. 1995년 3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산광역시 기장군으로 복군(複郡)되어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의 좌천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기장군 정관읍 병산골에서 발원하여 달음산을 돌아 흐르는 좌광천이 마을의 서쪽 경계를 따라 북에서 남으로 흘러간다. 마을은 평지에 발달해 있고, 서쪽으로는 시리성골이 있다.

[현황]

좌천 마을은 좌천리의 중심 마을로, 장안읍 소재지이다. 좌천 마을 외에도 좌서(佐西) 마을이 있었다고 전하나, 위치나 형성 시기 및 소멸 시기에 대해서는 확인된 바가 없다. 지명에서 좌천의 서쪽에 있던 마을로 추정된다. 좌천 마을에는 장안읍사무소·장안치안센터 등 행정 시설과 장안중학교장안제일고등학교 등 교육 시설, 동해 남부선 좌천역이 있다. 좌천 마을 중심가 서남쪽 경계에 제당과 당산 나무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