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546
한자 伊東-
영어의미역 Yidong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이동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차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789년 - 기장현 동면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04년 - 기장군 동면 이동동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군 일광면 이천리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동래군 일광면 이천리에서 양산군 일광면 이천리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95년 3월 1일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로 편입
상세 주소 이동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1~198 일대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이동(伊東) 마을이천리의 동쪽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이동 마을의 옛 이름은 바둑개이다. 바둑돌이 갯가에 널려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이를 기포(碁浦)라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 산천조(山川條)에 “검은 바둑돌이 산출된다 하여 기포(碁浦·棋浦)라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기장현 동면(東面) 기포”가 있어 조선 전기부터 마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동 마을『경상남도 기장군 가호안(慶尙南道機張郡家戶案)』[1904]에서 기장군 동면 이동동(伊東洞)으로 처음 지명이 확인되며, 이 마을에 24호가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1914년 동래군 일광면 이천리(伊川里)에 속하게 된다. 1973년 양산군이 되었다가, 1995년 3월 1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이동 마을이 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자연 환경]

이동 마을은 동쪽으로 포구[기포]가 있고, 남으로 일광천이 흘러 동해로 흘러들며, 북으로 낮은 산지가 있다. 이동 마을 앞은 까만 자갈밭이었는데, 현재는 매립되었다.

[현황]

이동 마을 북쪽 거물산에는 골프장이 들어서 있고, 동쪽의 해안은 방파제·등대·선착장·선양장을 갖추고 있으며, 항내에 물량장이 있다. 이동 마을은 본래 빈촌이었으나, 1970년대부터 미역과 다시마를 대량 생산하고, 넙치 육상 축양 사업을 하면서 높은 소득을 올리게 되었다. 이에 해안가에는 수산물 판매장과 어촌계 사무실, 선박 입출항 대행소가 있으며, 해조류양식협회가 조직되어 있다.

마을에는 경주 이씨(慶州李氏) 익재공파(益齋公派) 기장 종중(機張宗中) 재실[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산8-11번지]이 있고, 통정대부 이기효(李基孝)·이춘주(李春柱)·이흥도(李興道), 가선대부 구광회(具光會)의 묘가 있다. 또한 이동 당산이 있는데 매년 음력 정월 14일 자정과 6월 3일 자정에 제를 올린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