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476
영어의미역 Saekkeut Village
이칭/별칭 새끄테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문동리 새끝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차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831년 - 하북면 독이방
변천 시기/일시 1904년 - 경상남도 기장군 중북면 문동동
변천 시기/일시 1914년 3월 1일 - 경상남도 동래군 일광면 문동리가 됨
변천 시기/일시 1973년 7월 1일 - 경상남도 동래군 일광면 문동리에서 경상남도 양산군 일광면 문동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3월 1일 -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문동리 새끝 마을이 됨
자연 마을 새끝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문동리 새끝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문동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문동리의 북쪽 마을로, 마을의 끝이라 하여 새끝 마을이 되었다. ‘새끄테’라고도 부른다.

[형성 및 변천]

새끝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새끝 마을이 속한 문동리에 조선 시대 조곡(租穀)을 보관하던 해창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조선 시대부터 있었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새끝 마을이 속한 문동리는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기장현 중북면 독이리(禿伊里)와 독포(禿浦)로 기록되어 있고, 『기장현읍지(機張縣邑誌)』[1831]에는 하북면 독이방(禿伊坊)으로, 『경상남도 기장읍지』[1904]에는 경상남도 기장군 중북면 문동리(文東里)로 기록되어 있다. 1914년 3월 1일 지방 제도 개편에 따라 경상남도 동래군 일광면 문동리가 되었으며, 1973년 7월 1일 경상남도 양산군 일광면 문동리에 속하였다. 1995년 3월 1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문동리 새끝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서쪽은 산지이고, 동쪽으로는 동해와 접해 있다. 북쪽에는 임랑천이 있어 동해로 유입된다. 바닷가에는 갯바위가 임랑천까지 이어져 있다.

[현황]

새끝 마을은 북쪽의 좌광천장안읍과 경계를 이루는 일광면 최북단에 위치한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나룻배가 장안읍 임랑리새끝 마을을 연결하였는데, 현재는 임랑교가 설치되어 두 지역을 연결하고 있다. 북동쪽의 바다 건너에 고리 원자력 발전소가 있고 서쪽의 마을 산정에는 임랑포 봉수대의 자취가 남아 있다. 마을 뒷산에는 문동공소가 설립될 당시 초대 회장직을 맡은 독실한 천주교 신자인 최묵수(崔默壽)의 비가 세워져 있다. 동쪽 해안에는 소형 어선이 정박할 수 있는 선착장이 있고, 주변에 우무가사리, 파래, 고동, 홍합, 해삼, 전복 등의 서식처 역할을 하는 바위가 있다. 2013년 현재 칠암과 임랑을 연결하는 해안 도로를 따라 몇 채의 가옥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