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464
한자 三德-
영어의미역 Samdeok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삼덕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차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개설 시기/일시 1961년 2월 5일 - 음성 한센인의 자립촌으로 조성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경상남도 양산군 일광면 이천리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삼덕 마을이 됨
자연 마을 삼덕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삼덕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삼덕(三德) 마을은 천주교의 정신이라 할 수 있는 3가지 덕목인 믿음[信], 소망[望], 사랑[愛]이라는 뜻에서 이름 지어져 ‘신망애(信望愛)’라는 석 자로 요약된다.

[형성 및 변천]

삼덕 마을은 1961년 2월 5일 국립용호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음성 한센인의 자립촌으로 조성되었다. 음성 한센인의 자립을 위해 용호동본당[꼰벤뚜알 성 프란치스꼬 수도회]이 자체 기금으로 당시 동래군 일광면 이천리 임야 약 1만 3884.30㎡[4,200평]을 구입하고 추가로 부지 1,537.19㎡[465평]을 매입하여 택지를 조성하였다. 같은 해 3월에는 정부 지원을 받아 건평 약 20㎡[6평] 규모의 주택 35동을 건립하고, 1962년 12월 26일 70가구, 250명을 집단 이주시켰다. 삼덕 마을이 속한 이천리는 1973년 동래군에서 경상남도 양산군으로 이관되었다가,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면서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이천리 삼덕 마을이 되었다.

[자연 환경]

서쪽에 일광산이 있고, 북쪽으로는 일광천이 흐른다. 마을은 평탄하면서 고도가 높아 동해를 바라볼 수 있는 지대에 위치한다.

[현황]

서쪽으로 부산~울산 간 고속 도로가 지나가고, 동쪽의 국도 제14호선과 접해 있다. 마을은 음성 한센인의 자활을 위해 천주교가 주도하여 만든 종교적 성격이 강하다. 마을 내에는 주민 이주와 동시에 천막 미사에서 시작된 일광성가원[일광천주교회]이 있고, 1975년에는 마을 입구에서부터 볼 수 있도록 서쪽의 언덕에 축성한 성모마리아상과 삼덕공소가 있다.

1961년 조성되어 슬레이트 가옥과 양돈 및 양계 사업장이 혼재되어 있던 마을이 점차 노후화되어 감에 따라, 1991년 10월 마을 입구[국도 제14호선 변]에 삼덕 아파트를 지어 주민들의 이주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원 마을에서는 거주자가 빠져나가고 양돈과 양계 사업장으로만 이용되고 있다. 현재 삼덕 아파트 내에 삼덕 노인정과 삼덕 회관이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하** 안녕하세요? 저희들은 천주교인이며 브라질에서16년 정도 머물다 한국으로 고향 부산으로 돌아가 성화 미술관을 운영할 꿈을 가지고 있는 부부 화가입니다.삼덕마을에 미술관의 꿈을 이루어보면 어떨까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산역사문화대전은 부산광역시 지역의 문화를 소개하는 디지털사전입니다.
    문의한 내용은 일광면행정복지센터에 직접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0.05.09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