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440
한자 武陽-
영어의미역 Muyang Villa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무양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공태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변천 시기/일시 1895년 - 기장군 읍내면 무양동에 속함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군 기장면 대변리 무양 마을이 됨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0년연표보기 - 기장면이 기장읍으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86년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무양 마을이 됨
자연 마을 무양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무양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무양(武陽)은 옛날 남산 봉수대 봉군(烽軍)들의 무영(武營)이 있었던 곳이다. 이 무영을 남바오, 남바우, 남바위, 나암바, 남바라고 불렀다. 남바오의 남은 남쪽, 바오는 무영으로 남산 봉수대 봉화군의 무영을 의미하는 남무영(南武營)이다. 이 남무영을 줄여서 무영이라 하다가 오기로 무양이 되었으며, 소리 나는 대로 한자로 무양으로 표기하였다.

[형성 및 변천]

무양 마을의 명칭 유래가 된 남산 봉수대가 985년(성종 4)에 설치된 것에 비추어 고려 때부터 거주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이나, 조선 전기까지는 동명으로 존재하지 않고 기장현 읍내면 무지포로 불렸다. 1895년(고종 32) 기장군 읍내면 무양동(武陽洞)으로 명칭이 확인되며, 1914년 일부는 용암동(龍岩洞)과 합쳐 동래군 기장면 대변리(大邊里)무양 마을이 되고, 또 무양동의 일부는 연화리에 편입되었다. 1973년 경상남도 양산군에 편입되었으며, 1980년 기장면기장읍으로 승격하였다.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가,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무양 마을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북쪽과 서쪽으로 산지가 있고, 남쪽은 동해와 접한 만이다. 마을은 북쪽 남산을 중심으로 남쪽 해안으로 뻗은 낮은 구릉지에 자리하고 있다.

[현황]

무양 마을대변리 578번지 일대에 있는 자연 마을로, 대변항을 중심으로 동쪽 대변 마을과 서쪽 무양 마을로 나누어져 있다. 마을 남쪽에 대변항이 있고, 해안선을 따라 기장 해안로가 지나가며, 마을의 북서쪽으로 청강리로 통하는 대변로가 지나간다. 해안 도로를 따라 대변초등학교와 병설유치원이 있고, 횟집 등 상가가 있으며, 마을 내에 무양 마을 회관과 노인 요양 병원, 무양 지역 아동 센터 등이 있다. 마을 북쪽 산 중턱에는 토암 도자기 공원이 있고, 산정부에는 남산 봉수대가 있다.

대변항기장군 유일의 국가 어항으로, 어선의 안전 정박 및 어획물 양육의 원활한 도모와 어민 소득 증대, 지역 사회 개발의 기반 조성을 위한 어항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12년 현재도 다기능 복합 항구로의 기반 조성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에 대변항 주변을 바다 먹거리 지구, 멸치 테마 지구, 어항 중심 지구로 나누고 수변 테크 및 친수 공간을 넓혀 증가하는 관광객과 지역 주민의 생활 편익을 제공할 각종 시설이 확충되고 있다. 무양 마을은 어업과 그 관련 업종이 주를 이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