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357
한자 佳洞-
영어의미역 Gadong Village
이칭/별칭 가보들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가동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허모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개설 시기/일시 1789년 - 기장현 하북면 산막방 가동리
변천 시기/일시 1895년 - 동래부 기장군 하북면 가동이 됨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동래부 기장군 하북면 가동에서 경상남도 동래군 정관면 용수리 가동 마을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73년 - 동래군이 폐군되면서 양산군에 통합
변천 시기/일시 1986년 -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기장군이 복군되며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면 용수리 가동 마을이 됨
변천 시기/일시 1998년 - 정관 신도시 지구로 확정되어 마을 대부분이 철거
자연 마을 가동 마을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 가동 마을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용수리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옛 이름은 가보들골로, 첫 자인 가를 따고, 골[고을]을 차훈한 동(洞)을 붙여 가동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가보들골이란 갓보들골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는데, 갓은 산(山)을 말하며, 보는 논에 물을 대는 보(洑), 들은 평(坪), 골은 동(洞)으로, 가보들골을 한자로 표기하면 산보평동(山洑坪洞)이 되어 산동(山洞)으로 표기될 수도 있는데, 아름다울 가(佳)를 차훈해 아름다운 마을을 의미하는 가동(佳洞)이라 한 것으로 본다.

[형성 및 변천]

가동 마을 남서쪽에서 3~5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집단 취락지와 고분군이 발견되어 고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가동 마을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조선 후기에는 기장현 하북면 산막방에 속하였고,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서 기장현 하북면 산막방가동리라는 동명을 확인할 수 있다.

1895년(고종 32) 동래부 기장군 하북면 가동이 되었고, 1914년 동래군에 귀속되며 덕전동과 산막동평전동과 병합하여 정관면 용수리 가동 마을이 되었다. 1973년 동래군이 폐지됨에 따라 양산군 관할이 되었다가 1986년 양산군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며 복군된 기장군 정관면 용수리 가동 마을이 되었다. 1998년 5월 8일 건설교통부의 택지 개발 계획 승인 고시로 정관 신도시 개발 계획이 확정되어 마을 대부분이 철거되고 북쪽에 살던 몇 가구만 남아 있다.

[자연 환경]

마을 북쪽은 함박산을 중심으로 한 산지가, 동쪽에는 동산이 바람을 막고 있다. 남서쪽에는 85m 높이의 차밤산이 있으며, 취락은 북쪽 산기슭에 위치해 남향이다. 남쪽으로는 좌광천이 흐르며 하천 주변은 평지이다.

[현황]

가동 마을용수리 300-2번지 일대에 있는 자연 마을로, 마을 대부분이 정관 신도시 택지 개발에 포함되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북쪽 산사면에 있는 가구만 일부 남아 있다. 마을 내에 가동 마을 회관이 있다. 마을 북쪽 산지에 신정관로가 관통하며, 남쪽 하천 변으로는 도로망이 잘 발달해 있는데, 이 좌광천변을 따라 시가지가 조성되어 있다. 1997년 정관읍사무소가 이전해 왔으며, 부산광역시 기장소방서도 들어와 있고, 정관 박물관이 건립되는 등 개발이 진행 중이다. 동쪽으로 소두방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