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262 |
---|---|
한자 | 河亭- |
영어의미역 | Hajeong Village |
이칭/별칭 | 하정리(河亭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하정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진모 |
성격 | 자연 마을 |
---|---|
가구수 | 59가구 |
인구(남, 여) | 134명[남 70명|여 64명] |
변천 시기/일시 | 1740년 - 북면 소산리에 해당 |
변천 시기/일시 | 1904년 10월 - 하정동 명칭 사용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선리 명칭 사용 |
변천 시기/일시 | 1917년 5월 - 하정동의 한자명 변경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로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66년 - 선동 명칭 사용 |
변천 시기/일시 | 1975년 - 동래구로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88년 - 금정구로 분구 |
변천 시기/일시 | 1999년 - 선두구동으로 변경 |
자연 마을 | 하정 마을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 하정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선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하정(河亭) 마을은 조선 시대에는 소산리라고 하였다. 소산리에 대한 명칭 유래는 소산(蘇山) 아래에 있다 하여 소산리라 하였다는 설과 소산 대사[범어사 승려가 이 마을을 지나다가 조그마한 집에 서기(瑞氣)가 돌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집에 들어서니 웅장한 소리를 내며 옥동자가 태어나, 산모에게 불가와 인연이 깊은 동자이니 잘 길러 주면 몇 년 후에 동자를 데려 가겠다고 청하였다. 그 후 불가와 인연을 맺은 동자는 입산수도하여 유명한 스님이 되었는데, 바로 소산 대사라고 하였다]가 태어난 곳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형성 및 변천]
선동 하정 고분군 주위의 토기를 기준으로 보면 6~7세기경부터 취락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사(高麗史)』에 소산역(蘇山驛)이 처음 나타나며, 『세조실록(世祖實錄)』의 세조 8년조[1462]에도 소산역(蘇山驛)이 등장한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는 소산리(蘇山里)로 나타나고, 역원(驛院) 조에 소산역이 표기되어 있다. 『영남읍지(嶺南邑誌)』[1895]와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832]에서도 소산역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 하정동(河亭洞)이란 지명이 처음 나타난다. 『신구 대조 조선 전도 부군면리동 명칭 일람』[1917]에서 하정동(荷亭洞)으로 한자명이 변경된 이후 현재에 이른다. 1963년 1월 1일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 관할로 바뀌었다. 1966년 리제 폐지에 따라 선리가 선동으로 개칭하였고, 1975년 북면출장소가 폐지되어 동래구에 편입되었다가, 1988년 1월 1일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금정구의 관할이 되었다. 1999년 선동과 두구동을 통합하여 행정동인 선두구동이 되었다.
[자연 환경]
마을의 북쪽에는 소산(蘇山)이 있고, 남쪽에는 내림골(來臨谷)과 안골이 있으며, 서쪽 아래팔송[남산동]과의 사이에 소산 고개가 있다. 마을의 북쪽은 평지가 펼쳐져 있는데, 재들, 분덕골, 버티이라고 부른다.
[현황]
하정 마을의 인구는 2001년 12월 80가구에 210명이 살았으며, 2012년 4월 현재는 59가구에 총 134명으로 남자가 70명, 여자가 64명이다. 경부 고속 도로와 지하철 1호선 사이에 있으며, 개발 제한 구역 및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설정되어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주민의 절반 이상이 농업과 음식업에 종사하고 있다. 마을 남쪽에 동래 베네스트 골프 클럽이 있고, 골프장 내에는 1943년 조성된 하정 소류지가 있다. 주요 기관으로 1997년도까지 선동의 동사무소가 있던 자리에 금정구 자활 자립 센터가 들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