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257 |
---|---|
한자 | 竹田-杜邱洞- |
영어의미역 | Jukjeon Village[Dugu-dong] |
이칭/별칭 | 대밭안[竹田內]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죽전2길 7[두구동 121-2] 죽전 마을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진모 |
성격 | 자연 마을 |
---|---|
가구수 | 158가구 |
인구(남, 여) | 270명[남 151명|여 119명] |
변천 시기/일시 | 1740년 - 북면 두구리 |
변천 시기/일시 | 1832년 - 두구리 한자명 변경 |
변천 시기/일시 | 1904년 - 북면 죽전동 명칭 확인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 북면 죽전동이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로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75년 - 동래구로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88년 - 금정구로 분구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금정구 두구동 죽전 마을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죽전 마을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9년 - 선동과 두구동 통합하여 행정동인 선두구동 설치 |
자연 마을 | 죽전 마을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죽전 2길 7[두구동 5통] 죽전 마을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이 마을은 공덕산(孔德山) 서쪽 기슭에 약 9,917.36㎡[3,000여 평] 규모의 대밭이 있어 죽전(竹田)이라 하였다. 대밭안[竹田內]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죽전 마을[두구동]은 500여 년 전 유씨(劉氏)와 조씨(趙氏)의 입향으로 형성되었다고 전한다. 죽전 마을이 속한 지역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북면 두구리(豆口里)로,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832]에는 두구리(杜邱里)로 한자명이 변경되어 오늘에 이른다. 죽전 마을은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서 죽전동(竹田洞)으로 처음 명칭을 확인할 수 있는데, 강씨(姜氏) 6호, 박씨(朴氏) 2호, 최씨(崔氏) 1호, 정씨(鄭氏) 1호, 송씨(宋氏) 1호, 전씨(全氏) 1호로 13호가 거주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1963년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에 속하였다가 1975년 동래구로 편입되었다. 1988년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금정구의 관할이 되었으며,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죽전 마을이 되었다. 1998년 대두 마을에서 주민 자치 센터가 이전해 왔고, 1999년 선동과 두구동을 통합하여 행정동인 선두구동이 설치되었다.
[자연 환경]
공덕산 서쪽에 마을이 있고, 마을 안에는 연꽃 소류지로 유명한 조정언(調丼堰)[두구동 1117번지에 위치한 2,644.62㎡[800여 평]의 저수지로 1887년에 축조]이 있다.
[현황]
죽전 마을은 2001년 12월 100가구에 300명이 살았으나 2012년 4월 현재 인구는 158가구에 총 270명으로 남자가 151명, 여자가 119명이다. 개발 제한 구역 및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설정되어 많은 제한을 받고 있으며, 주민의 절반 정도는 농업과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마을 내에 조정언비(調丼堰碑)[조정언의 축조 전말을 기록한 공덕비]가 있고, 주변에 스포원 파크[금정 체육공원], 홍법사 등이 있으며, 주요 기관으로는 선두구동주민센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