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252
한자 林石-
영어의미역 Yinseok Village
이칭/별칭 임석리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임석1길 23-8[두구동 597] 임석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진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가구수 179가구
인구(남, 여) 402명[남 220명|여 182명]
변천 시기/일시 1740년 - 북면 두구리
변천 시기/일시 1832년 - 두구리의 한자명 변경
변천 시기/일시 1904년 - 북면 두구동
변천 시기/일시 1917년 - 두구동이 임석동으로 개칭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북면 임석동이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75년 - 동래구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88년 - 금정구로 분구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금정구 두구동 임석 마을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임석 마을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9년 - 선동, 두구동 통합하여 행정동인 선두구동 설치
자연 마을 임석 마을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임석 1길 23-8[두구동 1통] 임석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임석(林石) 마을 앞에 큰 바위가 있고, 소나무 숲이 울창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임석리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임석 마을은 삼국 시대인 5세기 말의 유적인 두구동 임석 고분군상에 위치해 있어 취락 형성의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북면 두구리(豆口里)가 기록되어 있는데,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832]에서는 두구리(杜邱里)의 한자명이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 두구동(杜邱洞)은 17호로 문씨(文氏) 7호, 박씨(朴氏) 3호, 한씨(韓氏) 2호, 김씨(金氏) 1호, 최씨(崔氏) 2호, 정씨(丁氏) 1호가 살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문씨는 500년 전 임석 마을의 입향조로 알려져 있다.

『신구대조 조선 전도 부군면리동 명칭 일람』[1917]에는 임석동(林石洞), 수내동(藪內洞), 태두동(太豆洞), 중리동(中里洞), 죽전동(竹田洞), 송정동(送亭洞)의 명칭이 확인된다. 마을 주위가 낮은 구릉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 팥배나무가 있어서 처음에는 두구동(杜邱洞)으로 불리다가 1917년부터 임석으로 불렸다.

1963년 1월 1일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 승격될 때 동래군 북면 일대가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 관할로 바뀌었다. 1975년 북면출장소가 폐지되어 동래구로 편입되었다가, 1988년 1월 1일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금정구의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임석 마을이 되었다. 1999년 선동, 두구동을 통합하여 행정동인 선두구동이 설치되었다.

[자연 환경]

임석 마을수영강의 상류 쪽에 있다. 마을의 북쪽 소하천은 서쪽으로 흘러 수영강에 합류하며, 동쪽은 안골산[200m]과 안골·새청골[골짜기], 새청못이 있다. 임석 마을 남쪽으로 신천 마을과의 사이에 상부원(上釜員) 또는 보들이라는 들이 있다.

[현황]

임석 마을은 2001년 12월 180가구에 500명이 살았으나 2012년 4월 현재 인구는 179가구에 총 402명으로 남자가 220명, 여자가 182명이다. 개발 제한 구역 및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설정되어 개발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으며, 주민의 절반 정도가 농업과 음식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변에 스포원 파크[금정 체육공원], 동래 베네스트 골프클럽, 오륜대 수원지가 있으며, 수영강 건너 부산 시립 공원묘지와 영락 공원[두구동 산83-14번지]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