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228
한자 大龍-老圃洞-
영어의미역 Daeryong Village[Nopo-dong]
이칭/별칭 대룡리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대룡2길 3[노포동 613-3] 대룡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진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가구수 72가구
인구(남, 여) 225명[남 117명|여 108명]
변천 시기/일시 1740년 - 북면 작장리
변천 시기/일시 1904년 - 북면 노포동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북면 노포동이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로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75년연표보기 - 북면출장소가 동래구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88년 - 동래구에서 금정구로 분구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금정구 노포동 대룡 마을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대룡 마을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선두구동으로 변경
자연 마을 대룡 마을 - 부산광역시 금정구 대룡 2길 3[노포동 10통 ] 대룡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마을 뒷산인 계명산으로부터 큰 용이 내려와 앉은 형상을 하고 있어 대룡(大龍)이라고 이름 붙였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남원 양씨(南原梁氏) 집성촌인 대룡 마을은 1619년(광해군 11년) 양부하(梁敷河)[1580∼1676, 임진왜란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끌려갔다가 조선인 100여 명을 이끌고 쓰시마 섬을 거쳐 동래 감만포로 돌아옴]가 정착하며 형성된 마을이다. 대룡 마을이 속한 지역은 『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는 작장리로 확인되고, 『영남읍지(嶺南邑誌)』[1895] 동래부 사례에서는 북면 노포리, 작장리로 확인된다. 인접한 작장 마을과 하나의 마을이었다가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 노포리는 34호로 유씨(柳氏) 1호, 김씨(金氏) 4호, 공씨(孔氏) 1호, 정씨(鄭氏) 4호, 정씨(丁氏) 1호, 오씨(吳氏) 1호, 송씨(宋氏) 1호, 양씨(梁氏) 8호, 최씨(崔氏) 2호, 강씨(姜氏) 2호, 문씨(文氏) 2호, 서씨(徐氏) 1호, 박씨(朴氏) 3호, 윤씨(尹氏) 1호, 곽씨(郭氏) 1호가 살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양씨는 양부하의 후손들이다. 대룡 마을은 『신구 대조 조선 전도 부군면리동 명칭 일람』[1917]에서 대룡동(大籠洞)으로 처음 확인된다.

1963년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에 속하였다가 1975년 동래구에 편입되었고, 1988년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금정구의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대룡 마을이 되었다. 1999년 청룡동, 노포동을 통합하여 행정동인 청룡노포동이 설치되었다.

[자연 환경]

마을은 계명봉 기슭에 웃각단[웃마을]과 국도 7호선 아래쪽에 아래각단[아래마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쪽의 계명산이 마을 뒷산이며 북동쪽으로 사배야산이 있다.

[현황]

2012년 4월 현재 대룡 마을 인구는 72가구에 총 225명으로 남자가 117명, 여자가 108명이다. 국도 7호선을 기준으로 나뉜 웃각단에 혜일암(慧日庵)이 있고, 계명산 기슭 125~140m 높이의 구릉 능선부에 대룡 석관묘가 있다. 주변에는 부산컨트리클럽, 노포동 산성, 계명 봉수대 등이 있다. 2010년 부설된 KTX 경부 고속 철도 금정 터널이 서쪽 계명산을 통과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