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8227
한자 大豆-
영어의미역 Daedu Village
이칭/별칭 대두리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대두로 30[두구동 3통] 대두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진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자연 마을
가구수 164가구
인구(남, 여) 379명[남 194명|여 185명]
변천 시기/일시 1740년 - 북면 두구리
변천 시기/일시 1904년 - 북면 태두동
변천 시기/일시 1917년 - 북면 태두동에서 북면 대두동으로 개칭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북면 대두동이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에 편입
변천 시기/일시 1975년연표보기 - 북면출장소가 동래구로 승격
변천 시기/일시 1988년 - 동래구에서 금정구 분구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부산직할시 금정구 두구동 대두 마을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대두 마을로 개편
자연 마을 대두 마을 - 부산광역시 금정구 대두로 30[두구동 3통] 대두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 유래]

마을 앞들에서 콩을 많이 재배하여 대두(大豆) 마을로 불리게 되었다.

[형성 및 변천]

대두 마을에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두구동 800번지]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청동기 시대부터 거주지로 이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두구동(豆口洞)의 7개 마을 중 조리 마을과 함께 가장 먼저 형성된 마을이다. 대두 마을이 속한 두구동『동래부지(東萊府誌)』[1740]에 북면 두구리(豆口里)로,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1832]에는 두구리(杜邱里)로 한자명이 변경되어 오늘에 이른다. 대두 마을『경상남도 동래군 가호안』[1904]에서 태두동(太荳洞)으로 확인되는데, 양씨(梁氏) 4호, 유씨(劉氏) 2호, 박씨(朴氏) 11호, 한씨(韓氏) 1호, 문씨(文氏) 1호의 20호가 거주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신구 대조 조선 전도 부군면리동 명칭 일람』[1917]에는 태두동(太豆洞)으로 되어 있다. 마을의 지명이 태두(太豆)에서 태두(太荳), 이후 대두(大豆)로 개칭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63년 부산직할시 북면출장소 관할이었다가 1975년 동래구로 편입되었고, 1988년 1월 1일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금정구의 관할이 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대두 마을이 되었다. 1999년 선동, 두구동을 통합하여 행정동인 선두구동이 설치되었다. 1997년까지 두구동의 동사무소가 있었으나 1998년 죽전 마을로 옮겨 갔다.

[자연 환경]

마을 입구에 솔밭이 있으며, 대두 마을 쪽으로 흘러내리는 수영강을 국실천이라 부르는데 이는 마을 서쪽에 국실산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부르고 있다. 마을의 형상이 배 모양을 닮아 배설이라고 불렸으며, 예로부터 우물을 파면 그 집이 망한다고 하여 4곳의 공동 우물을 이용하였다. 마을과 서쪽에 있는 수영강 사이 평지는 전답으로 이용된다.

[현황]

2001년 4월 현재 인구는 164가구에 총 379명으로 남자가 194명, 여자가 185명이다. 마을이 개발 제한 구역 및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설정되어 주민의 절반 정도가 농업과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주변에 스포원 파크[금정 체육공원]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