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8217 |
---|---|
한자 | 錦絲洞 |
영어의미역 | Geumsa-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기혁 |
성격 | 법정동 |
---|---|
면적 | 5.51㎢ |
가구수 | 4,168가구 |
인구(남, 여) | 8,053명[남 4,256명|여 3,797명]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경상남도 동래군 동래면 금사동 |
변천 시기/일시 | 1942년 - 경상남도 동래군이 부산부 동래 출장소에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49년 - 부산부 동래 출장소 금사동에서 부산시 금사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57년 - 금사동이 부산시 동래구에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88년 1월 1일 - 동래구 금사동이 신설 구인 금정구에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 부산직할시 금정구 금사동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으로 개편 |
법정동 | 금사동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금사동(錦絲洞)은 사천 마을과 금천 마을 일부가 합쳐지면서 만들어진 지명이다.
[형성 및 변천]
금사동은 조선 후기에 동래군 동상면(東上面)에 속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래면이 되며 사천동과 금천동 일부가 합쳐져 금사동이 되었다. 1942년 동래군이 부산부로 편입됨에 따라 부산부 동래출장소에 속하였고, 1949년 부산시 금사동이 되었다. 1957년에 구제가 실시되며 동래구에 편입되었으며, 1988년 1월 1일 동래구에서 분구되어 신설 구인 금정구에 편입되었다.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연 환경]
금사동은 금정구의 동부에 위치한 동으로 동쪽은 해운대구 석대동·반송동, 서쪽은 서동·오륜동, 남쪽은 해운대구 석대동, 북쪽은 오륜동과 기장군에 접해 있다. 수영천의 상류에 위치하며, 서쪽으로 윤산(輪山)[317m, 일명 구월산]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동쪽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수영강 유역에 평지가 형성되어 있다.
[현황]
2023년 12월 현재 행정동인 금사회동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5.50㎢이며, 인구는 4,058가구에, 총 7,283명으로 남자가 3,810명, 여자가 3,473명이다. 1974년 금사동 및 회동동 일부가 준공업 지구로 승인되어 금사 공단이 조성되었으나 지금은 공장의 유출로 지역 공동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도시 재정비 대상 지구로 선정되어 재개발 사업이 추진 중이다. 자연 마을로 금천 마을과 사천 마을이 있다. 금사동은 회동동과 함께 행정동인 금사동에 속했는데, 2018년 행정동 명칭 변경 조례 개정에 따라 2018년 10월 1일 금사회동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4.09.09 | 현행화 | [현황] 통계자료 현행화 |
2022.11.23 | 현행화 | [상세정보] 가구수, 인구 변경, [현황] 인구 변경 |
2021.03.22 | 현행화 | 2020년 12월 현재 행정동인 금사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5.51㎢이며, 인구는 4,251가구에, 총 8,431명으로 남자가 4,471명, 여자가 3,960명이다. |
2020.05.28 | 현행화 | 2019년 12월 현재 행정동인 금사동을 기준으로, 면적은 5.51㎢이며, 인구는 4,350가구에, 총 8,991명으로 남자가 4,750명, 여자가 4,241명이다 |
2019.04.30 | 2019년 현행화 | 현황(인구 등) 현행화 |
2018.10.05 | 행정동 명칭 변경에 따른 현행화 | [현황] 추가: 2018년 행정동 명칭 변경 조례에 따라 행정동 금사동이 금사회동동으로 명칭 변경됨. |
2018.03.14 | 2018년 현행화 | 2018년 현행화(‘2017년 최신 통계정보 현행화 자료’ 참조) 인구, 가구수 현행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