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산업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771
한자 釜山産業學校
영어의미역 Busan Industrial School
이칭/별칭 부산직업학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768번길 64[덕포동 775-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상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각종 학교
설립자 부산직할시
전화 051-309-8114
홈페이지 http://sanup.hs.kr
인가 시기/일시 1990년 12월 18일 - 부산직업학교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91년 3월 8일연표보기 - 부산직업학교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97년 9월 1일연표보기 - 부산산업학교로 변경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5월 1일 - 학교 복지사 활용 연구 학교 지정[교육부]
최초 설립지 부산직업학교 - 부산직할시 사상구 덕포동 775-1
현 소재지 부산산업학교 -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768번길 64[덕포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공립 교육 기관.

[교육 목표]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정직하고 성실하며 창의적인 전문 기술인을 양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정직·성실·창조’이다.

[변천]

1990년 12월 18일 부산직업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기계과 2학급, 디자인과 1학급, 자동차정비과 2학급, 전자과 2학급, 정보처리과 3학급, 정원 500명], 1991년 3월 8일 제1회 입교식과 함께 사상구 덕포동의 가교사에서 개교하였다[18개교에서 587명, 10학급]. 1991년 7월 2일 교사를 준공하여 개교하였고, 1997년 9월 1일 부산산업학교로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12년 2월 7일 제21회까지 총 7,468명의 수료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바른 생활 실천을 위한 인성 교육 강화, 안전하고 깨끗한 교육 환경 조성 및 학습의욕 고취, 현장 적응력 신장을 위한 직업 교육의 내실화, 자율과 책임을 통한 교원의 전문성 신장 등을 중점 추진 과제로 삼아 노력하고 있다. 학교 특색 사업으로는 CAP(Career Assistance Program)[경력 지원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직업의식 고취 및 직업 능력 개발, TST(Teacher & Student Together)[사제동행]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인성 교육 강화 등을 실시하고 있다. 2004년 5월 1일 교육부가 학교 복지사 활용 연구 학교로 지정하여 운영한 바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김시종/ 작곡 김종태]

낙동강 김해벌을 한눈에 담고/ 백양의 기슭에 터를 잡았다

젊은이여 모여라 기술의 전당으로/ 넓혀가자 나의 길 땀과 노력으로

정직 성실 창조 깃발 아래/ 영원하라 부산산업학교.

2. 교목: 느티나무.

3. 교화: 동백.

[현황]

2012년 3월 현재, 기계 계열[전자기계과, 자동차과], 영상·정보 계열[디지털영상과, 모바일콘텐츠과, 웹마스터과], 디자인 계열[비주얼디자인과, 컴퓨터그래픽과], 서비스 계열[제과제빵과, 조리과, 미용과학과] 등 총 4개 계열, 10개과 11학급[각 과별 1학급, 미용과학과만 2학급]에 363명[학급별 33명]의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다.

학생들은 국·공립고 46개교, 사립고 25개교 등 총 71개교에서 직업 교육을 위해 위탁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다.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23명, 산학 겸임 교사 2명, 보건 교사 1명, 진로 진학 상담 교사 1명, 행정 직원 6명 등 총 35명의 교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총 교지 면적 4,756㎡에 보통 교실 11개, 각종 실습실 등 특별 교실 6개, 진로 상담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