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402
한자 釜山中央高等學校
영어의미역 Busan Jungang High School
이칭/별칭 부산중앙고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진남로127번길 50[대연동 1778-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고등학교
설립자 부산직할시
전화 051-643-8271
홈페이지 부산중앙고등학교(http://bjungang.hs.kr)
인가 시기/일시 1972년 12월 26일 -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73년 3월 6일연표보기 - 개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3년 2월 15일 - 새마을 교육 유공 학교 교육부 장관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9년 12월 21일 - 장학 협의회 최우수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10월 16일 - 제73회 전국 체전 고교 농구 대회 준우승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9월 23일 - 제29회 쌍용기 전국 농구 대회 준우승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 12월 23일 - 교수 학습 방법 개선 최우수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7월 10일 - 시·도 교육청 평가 최우수 학교상 수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9월 23일 - 제30회 추계 농구 대회 우승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3월 15일 - 제38회 춘계 농구 대회 준우승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1월 11일 -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로 지정
최초 설립지 부산중앙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진남로 127번길 50[대연동 1778-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중앙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진남로 127번길 50[대연동 177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경쟁력 있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근면, 협동, 자활’이다.

[변천]

1972년 12월 26일에 부산중앙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3년 3월 6일에 개교 및 제1회 입학식을 하였다. 2011년 3월 2일에 제18대 진광효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9일에 제37회 졸업식을 통해 331명이 졸업하여 총 1만 9588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중앙고등학교의 역점 과제는 첫째, 토요 방과 후 학교 운영이다. 이를 위해 교육 공동체가 함께하는 토요 스쿨 운영을 통한 다양한 학습 경험 제공으로 학생들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 신장 및 창의성, 인성 함양과 학교-가정-지역 사회의 유기적인 협력 체제 강화를 통한 안정적 지원 체제를 구축한다. 둘째, 학력 신장 프로젝트이다. 이를 위해 학습에 대한 실태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학력 신장 계획을 수립하고, 교실 수업 개선 의지 강화 및 교과 지도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며, 학생의 학습 결과에 대한 분석과 환류를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학력 관리를 한다. 셋째, 미래 사회를 주도할 글로벌 인재 양성이다. 이를 위해 미래 사회를 주도할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수립, 바른 인성과 덕목을 갖춘 실력 있는 중앙인 양성, 학생의 학습 결과에 대한 분석과 환류를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학력 관리를 한다.

넷째, 내실 있는 창의적 체험 활동 운영이다. 이를 위해 실질적인 ‘창의적 체험 활동’ 전개로 전인적 소양 배양, 창의적 재량 활동과 특별 활동 5개 영역을 ‘창의적 체험 활동’으로 통합하여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운영, 입학 사정관제에 대비한 내실 있는 체험 활동 계획을 수립한다. 다섯째, 바른 인성 함양을 기르는 프로그램 운영이다. 이를 위해 체험과 실천 중심의 인성 교육 실시, 문화 및 체육 활동을 통해 심신이 건강한 중앙인 양성 프로그램 실천, 자율과 책임을 강조하고 기본을 갖추는 인재를 양성한다. 여섯째, 부산 교육청 지정 정책 연구 학교 운영이다. 그 추진 과제는 맞춤형 학습 지도 프로그램을 통한 ‘공부하는 학생 선수’ 육성 방안이다.

학교 특색 사업은 첫째, 실력 있고 매력 있는 교사로 자리매김하기 프로젝트이다. 그 목적은 교과 단위의 워크숍 및 교사 동아리 활동을 활성화하여 교과 중심의 체계적 수업 분석으로 교실 수업을 개선하며,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자율 연수 분위기를 조성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 동아리 운영이다. 학생들의 자발적 학습 및 문화 동아리 활동을 통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이 이루어지게 하고, 자기 관리 능력을 가지게 하며, 자신의 관심 영역에 대한 전문성을 높일 기회를 제공하고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기르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셋째,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과제 연구 프로그램 운영이다. 이를 위해 학생의 흥미에 맞는 주제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심층 탐구 능력을 육성하고 창의력을 계발하며, 교사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가 설계하고 탐구·수행하는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육성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들의 팀티칭과 팀웍을 통하여 학생 상호 간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자율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신장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넷째, 학생 생활 평가 카드제 실시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올바른 기본 생활 습관이 정착되어 규칙을 잘 지키는 민주 시민 육성과 기존의 체벌을 통한 지도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불미스러운 일을 예방하며, 학생에 대한 누가 기록으로 지속적인 관찰, 상담, 반성의 기회 및 지도를 시행한다.

1983년 2월 15일에 새마을 교육 유공 학교로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1989년 12월 21일에 장학 협의회 최우수상[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1992년 10월 16일에는 제73회 전국 체전 고교 농구 대회에서 준우승을, 1993년 9월 23일에는 제29회 쌍용기 전국 농구 대회에서 준우승을 하였다. 1994년 12월 23일에 교수 학습 방법 개선 최우수상[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하였고, 1998년 7월 10일에는 시·도 교육청 평가 최우수 학교상[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2000년 9월 23일에 제30회 추계 농구 대회에서 우승을 하였으며, 2001년 3월 15일에는 제38회 춘계 농구 대회에서 준우승을 하였다. 2010년 1월 11일에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로 지정된 바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김태홍/작곡 이상근]

황령산 아늑한 자리에 한바다를 굽어보면서/ 수평선 넘도는 젊음에 여기 푸른 꿈은 영근다/ 바다처럼 늠름한 기상에 하늘처럼 아스라한 포부로/ 정성 모아 받드는 우리의 도량 큰 뜻으로 빛나는 보금자리/ 오! 보라 전통을 창조하는 우리의 중앙고교를.

2. 교목: 느티나무이다. 마을 어귀 정자나무로, 모든 사람을 아우르는 넓은 마음의 부산중앙고등학교 학생을 상징한다.

3. 교화: 모란[목단]이다. 꽃 중의 왕으로, 항상 최고를 향해 달리는 부산중앙고등학교 인물을 상징한다.

4. 교기: 농구이다.

5. 캐릭터: ‘영(嶺)돌이’이다. 황령산 사자봉 기슭에 자리한 부산중앙고등학교는 개교 때부터 영(嶺)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학문을 상징하는 펜이 꽂혀 있는 영 깃발을 한 손에 들고 또 한 손엔 책을 든 씩씩한 사자상이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30학급에 877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10학급에 292명, 2학년은 인문계 4학급에 119명, 자연계 6학급에 185명, 3학년은 인문계 4학급에 123명, 자연계 6학급에 158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58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9명으로 총 79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2만 7525.2㎡로, 이 중 건물 총면적이 2,971.02㎡, 녹지·기타 면적이 1만 4666.18㎡, 체육관 면적이 9,888㎡이다. 화학실, 생물실, 물리실, 지학실, 미술실, 음악실, 컴퓨터실, 도서관, 정독실, 방송실, 위클래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