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349
한자 釜山廣域市敎育硏修院
영어의미역 Institute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Train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토곡로 66[연산동 3-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성병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육 시설
면적 19,185㎡[부지]|10,724㎡[건물]
전화 051-760-5558
홈페이지 부산광역시 교육 연수원(http://edu.beti.go.kr/hpg/index.do)
준공 시기/일시 1987년 1월 30일연표보기 - 부산직할시 교원연수원 준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1987년 4월 8일연표보기 - 부산직할시 교원연수원 개원
개칭 시기/일시 1995년 3월 1일연표보기 - 부산직할시 교원연수원에서 부산광역시 교원연수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1년 9월 1일연표보기 - 부산광역시 교원연수원에서 부산광역시 교육연수원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4월 21일 - 제2중강당 신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7월 31일 - 제2중강당 2층 증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3월 1일 - 원격 연수관 인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5일 - 장애인 주차 공간 확보
최초 설립지 부산직할시 교원연수원 - 부산광역시 연제구 토곡로 66[연산동 3-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교육연수원 - 부산광역시 연제구 토곡로 66[연산동 3-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있는 교원 교육 시설.

[건립 경위]

교원 및 교육 행정직의 재교육을 통한 교육의 질적 향상과 사명감 고취, 자질 함양 요구가 증가하고, 교원 교육의 수요 증가로 인한 부족한 시설을 확보하고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하여 건립되었다. 1985년 8월 5일 부산직할시 교원연수원 설립 계획의 승인을 받아, 1986년 6월 28일 부산직할시 교원연수원 설치 조례가 공포되었고, 1987년 4월 8일 부산직할시 교원 연수원으로 개원하였다.

[변천]

1995년 3월 1일 부산광역시 교원연수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9년 1월 1일 교육청 행정 기구 설치 조례[부산광역시 조례 제3510호]에 의거하여 교원과 일반직의 연수 업무를 관장하게 되었다. 2001년 4월 4일 원격 교육 연수관을 개관하고, 2001년 9월 1일 부산광역시 교육 연수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2년 2월 28일까지 총 23만 660명이 수료하였다.

[구성]

부산광역시 교육연수원의 부지는 1만 9185㎡, 건물은 1만 724㎡이며,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된 본관 및 지상 4층의 원격 교육관이 있다. 본관 건물에는 대강당, 중강당, 소강당, 강의실, 분임실, 음악실, 미술실, 컴퓨터실, 원격 연수[스튜디오, 콘텐츠 제작실], 사무실, 방송실, 도서실, 보건실, 정보 사랑방, 수유실, 식당, 강사 휴게실, 상황실, 세미나실, 자문 위원실이 있으며, 원격 교육관에는 컴퓨터실이 3실, 음악실, 미술실, 소강당 등이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 교육연수원은 원내 업무를 통괄하는 원장을 중심으로 연수 기획부[연수 기획 담당과 연수 관리 담당]와 교원 능력 개발부[연수 운영 담당과 능력 개발 담당, 원격 연수 담당], 행정 능력 개발부[연수 운영 담당과 능력 개발 담당], 총무부 등 4개의 담당 부서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서는 연수 기획, 연수 관리, 연수 운영, 능력 개발, 원격 연수, 전산실 등 6개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직원은 교육 전문직, 일반직, 기능직 등을 포함하여 총 53 명이 근무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교육연수원은 직무 연수, 자격 연수, 토요 선택형 자율 연수, 자율 연수[특수 분야 연수], 원격 연수 등 다양한 현장 중심의 연수를 기획, 운영하고 있다. 주된 연수 프로그램으로는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 복직 교사 직무 연수,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 신규 임용 예정 교사 직무 연수,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 직무 연수, 중등 교장 승진자 직무 연수, 초등·중등학교 교감 승진 예정자 직무 연수, 초등·중등학교 영어 회화 전문 강사 직무 연수, 중등학교 독서 토론 지도 교사 직무 연수, 중등학교 논술 지도의 실제[인문 사회] 직무 연수, 중등학교 진학 전문 컨설턴트 양성 직무 연수, 기획 능력 향상 과정 직무 연수[전문직], 교육 요원 역량 강화 직무 연수, 교육 행정직 입문 과정 직무 연수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