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336
한자 釜山敎育大學校附設初等學校
영어의미역 Busan National Universary of Education Elementary School
이칭/별칭 부산교대 부설 초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 24[거제동 87-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태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국립 초등학교
설립자 교육부
전화 051-500-7500
홈페이지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http://es.bnue.ac.kr)
개교 시기/일시 1960년 5월 16일연표보기 - 부산사범학교 부속 국민학교 분교로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61년 4월 1일연표보기 - 부산사범학교 부속 국민학교 분교에서 부산사범대학 부속 국민학교 분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62년연표보기 - 부산사범대학 부속 국민학교 분교에서 부산대학교 병설 교육대학 부속 국민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63년 3월 1일연표보기 - 부산대학교 병설 교육대학 부속 국민학교에서 부산교육대학 부속 국민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3년 3월연표보기 - 부산교육대학 부속 국민학교에서 부산교육대학교 부속 국민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96년 3월 1일연표보기 - 부산교육대학교 부속 국민학교에서 부산교육대학교 부속 초등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1년 3월 2일연표보기 - 부산교육대학교 부속 초등학교에서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1년 2월 1일 - 일본 시마네 부속 소학교와 자매결연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4월 28일 - 중국 항주 천장소학교와 자매결연 체결
최초 설립지 부산사범학교 부속 국민학교 분교 -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 24[거제동 87-2]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 -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 24[거제동 87-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국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튼튼하고 착하며 제 실력을 갖춘 자랑스런 한국 어린이’이다.

[변천]

1960년 5월 16일에 부산사범학교 부속 국민학교[현 화랑초등학교] 분교로 연제구 거제동에서 개교하였다. 1961년 4월 1일에 「국립 학교 설치법」에 의해 부산사범학교와 부산사범대학[1955년 설치, 현 부산대학교 사범대학]이 부산사범대학으로 통합되어, 부산사범대학 부속 국민학교 분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이후 부산사범대학이 부산대학교로 흡수되어 1962년에 부산대학교에 교육 대학이 설치되었고, 이에 따라 부산대학교 병설 교육대학 부속 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63년 3월 1일에 부산대학교 병설 교육대학이 2년제 부산교육대학으로 독립하면서 부산교육대학 부속 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3년 3월에 부산교육대학이 종합 대학인 부산교육대학교로 승격되면서 부산교육대학교 부속 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6년 3월 1일에 부산교육대학교 부속 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이후 2001년 3월 2일에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9년 9월 1일에 제11대 김남수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2년 2월 16일에 제50회 졸업생을 통해 128명이 졸업하여 총, 7,76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는 ‘꽃과 노래와 웃음이 있고 땀과 애태움이 있는 학교’라는 목표 아래, 기초 체육 강화 및 보건·청결 교육을 통하여 건강하고 깨끗한 몸과 건전한 마음을 가지고 풍부한 정서를 기르는 데 힘쓰고, 더불어 살아가는 생활 습관과 정직한 마음을 통하여 예절 바른 몸가짐을 익히며, 질서를 지키며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힘쓰고 있다.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과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개선을 통하여 기초·기본 학력을 바로 세우고, 미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1991년 2월 1일에 일본 시마네[島根] 부속 소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으며, 2005년 4월 28일에 중국 항주 천장소학교 교사단의 본교 방문으로 자매결연을 맺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김두성/작곡 이학석]

흰 구름 넘나드는 금정산 기슭/ 그 옛날 큰 새들이 깃을 치던 곳/ 즐거운 보금자리 슬기로운 배움터/ 우리는 자라나는 나라의 새싹/ 찬란히 꽃피우자 교대부설초.

2. 교목: 대나무이다. 사철 푸르고 곧은 대나무처럼 제 실력을 갖춘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 어린이의 의젓한 모습을 상징한다.

3. 교화: 개나리이다. 개나리처럼 착한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 어린이의 곱고 환한 얼굴을 상징한다.

4. 교조: 까치이다. 기쁜 소식을 안고 날아오는 까치처럼 튼튼하고 깔끔한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초등학교 어린이를 상징한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25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736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4학급에 112명, 2학년은 4학급에 112명, 3학년은 4학급에 128명, 4학년은 4학급에 128명, 5학년은 4학급에 128명, 6학년은 4학급에 128명이 재학하고 있으며, 특수 학급이 1학급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31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3명으로 총 36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만 7965㎡로, 체육관, 파랑새관[강당], 과학실, 도서실, 미술실, 예절실, 어학실, 방송실, 음악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5.23 교가 가사 현행화 교대부초교 -> 교대부설초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