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333
한자 釜山工業高等學校
영어의미역 Busan Technical High School
이칭/별칭 부산공고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196번길 80[대연동 918-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립 고등학교
설립자 부산학교조합
전화 051-607-3900
홈페이지 부산공업고등학교(http://pusan-th.hs.kr)
인가 시기/일시 1924년 5월 5일 -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로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63년 4월 15일 -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로 재개교
이전 시기/일시 1963년 4월 15일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에서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 326번지로 이전하여 재개교
이전 시기/일시 1972년 12월 20일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 326번지에서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196번길 80[대연동 918-1번지]으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32년 4월 1일연표보기 -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에서 부산공립공업실수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33년 6월 8일연표보기 - 부산공립공업실수학교에서 부산공립직업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4년 4월 21일연표보기 - 부산공립직업학교에서 부산제1공립공업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7년 9월 1일연표보기 - 부산제1공립공업학교에서 부산공립공업중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1년 8월 31일연표보기 - 부산공립공업중학교에서 부산공업고등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63년 4월 15일연표보기 - 부산공업고등학교에서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72년연표보기 -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에서 부산공업고등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4월 - 부산 기능 경기 대회 3직종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3개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9월 - 제44회 전국 기능 경기 대회 주조 직종 금메달, 원형 직종 동메달 획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4월 - 부산 지방 기능 경기 대회 3직종 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 획득
최초 설립지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 -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 326
주소 변경 이력 부산공업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196번길 80[대연동 918-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공업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196번길 80[대연동 91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미래 사회를 선도할 올바르고 창의적인 글로벌 기술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위하라 이 겨레, 일하라 지성껏, 앞서라 기술로’이다.

[변천]

1924년 5월 5일에 중구 보수동의 부산제5공립심상소학교 내에서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32년 4월 1일에 부산공립공업실수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33년 6월 8일에는 부산공립직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0년 5월 4일에 부산공립공업학교[5년제]가 신설되면서 부산공립직업학교를 병행하였다. 1944년 4월 21일에 일제의 공업화 정책으로 부산제1공립공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5년 3월 30일에 부산공립직업학교를 폐교하고, 1947년 9월 1일에 부산공립공업중학교[6년제]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1년 8월 31일에 학제 편제로 부산공업고등학교로 개편하였다.

1963년 교육 자치제의 부활과 「교육에 관한 임시 특례법」[법률 제708호]이 폐기되는 등 교육 환경의 변화와 산업화에 따른 고등 교육의 필요성이 급증하여, 그해 4월 15일에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5년제]로 승격하여 남구 용당동[현 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에서 재개교하였다. 1972년에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가 부산공업고등학교[3년제]와 국립부산공업전문학교[2년제]로 개편되었으며, 1972년 12월 20일에 현 위치로 신축 이전하였다. 2010년 9월 1일에 제18대 주수만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87회 졸업식을 통해 343명이 졸업하여 총 3만 752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공업고등학교의 교육 중점 활동은 첫째, 인간 존중을 통한 올바른 시민 정신 함양이다. 이를 위해 상벌점제 연계 그린 마일리지 운영으로 학생 인권 존중, 사제동행 예방 활동으로 학교 폭력이 없는 학교, 사랑이 넘치는 가고 싶은 학교 조성을 전개하고 있다. 둘째, 교육 과정의 내실화이다. 이를 위해 충실한 학업을 실시하여 기초·기본 학력 향상을 위한 교실 수업 개선, 창의·인성을 신장하는 방과 후 학교 활성화, 특별 활동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실천하고 있다. 셋째, 적성과 능력을 고려한 올바른 창의적 인재 육성이다. 이를 위해 미래를 선도할 창의적 교육의 내실화, 취업·진학을 위한 진로 상담 활동 강화, 올바른 기술 인재 육성을 통한 잠재 능력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 특색 사업은 첫째, 부품 가공·금형 제작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과정 운영, 둘째, 산학 연계 맞춤형 인력 양성 사업 운영, 셋째, 토요 스포츠 데이 운영, 넷째, 학부모 사프론봉사대 운영, 다섯째, 우수 기능 전수 사업 운영, 여섯째, 기술 사관 학교 사업 운영, 일곱째,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 교과 실습 수업 모형 구안·적용 연구 학교 운영이다. 2001년 1월 17일에 일본 기후공업고등학교와, 2008년 11월 28일에는 일본 후쿠오카 국토건설전문학교와 자매결연을 체결하였다. 2009년 4월에는 부산 기능 경기 대회 3직종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였고, 같은 해 8월 28일에 특성화 고등학교로 지정되었다. 그해 9월에 제44회 전국 기능 경기 대회 주조 직종에서 금메달을, 원형 직종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10년 4월에는 부산 기능 경기 대회 3직종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송재오·정성오/작곡 노두성]

금련산 솟은 아래 동해 나부끼는/ 근화 땅 동남 끝에 우뚝 선 학원/ 청운의 뜻을 품고 건설에 사는/ 우리들의 부산공업 부산공업 만세.

2. 교목: 금목서이다. 10월이면 학생회실 앞에 있는 금목서의 향기가 온 교정을 은은한 향기로 가득 채운다. 행복한 향기가 폐를 가득 채울 만큼 퍼져 나가는 그 느낌, 더욱 사랑하고픈 나무가 부산공업고등학교의 교목이다.

3. 교화: 철쭉이다. 자연의 조화를 아는 철쭉처럼 학생들도 조화롭게 정열과 끈기로 일편단심 고귀하게 꿈을 키워 가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4. 캐릭터: ‘테크와 에니’이다. 미래의 비전을 가진 밝고 건강한 소년과 소녀의 모습으로 남성과 여성을 표현하고 있다. 여성과 남성이 부산공업고등학교의 교훈 내용에 맞도록 남성의 이름은 테크니컬의 앞머리 글자를 따서 ‘테크’로, 여성의 이름은 엔지니어의 머리글자 ‘에니’로 명명하였다.

[현황]

2012년 기준 총 40학급에 1,074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기계과 7학급, 전기과 2학급, 건축과 3학급, 특수 학급 2학급에 358명, 2학년은 기계과 7학급, 전기과 2학급, 건축과 3학급, 특수 학급 1학급에 373명, 3학년은 기계과 7학급, 전기과 2학급, 건축과 3학급, 특수 학급 1학급에 343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82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39명으로 총 123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4만 4701㎡로, 이 중 건물 부지 면적이 1만 3103㎡, 체육장 면적이 9,600㎡, 기타 면적이 2만 1998㎡이다. 컴퓨터 응용 기계과 실습장, 전자 기계과 실습장, 금속과 실습장, 전기과 실습장, 건설 정보과 실습장, 건축 디자인 실습장, 야구 실내 연습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