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범어사 성보박물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321
한자 梵魚寺聖寶博物館
영어의미역 Beomeosa Buddhist Museum
분야 문화·교육/교육,종교/불교
유형 지명/시설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화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박물관
면적 355.68㎡[대지 면적]|505.44㎡[연면적]
전화 051-508-6139
홈페이지 범어사 성보박물관(http://www.beomeomuseum.org/)
준공 시기/일시 1999년 12월 20일연표보기 - 준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3년 3월 26일연표보기 - 개관
최초 설립지 범어사 성보박물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현 소재지 범어사 성보박물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박물관.

[건립 경위]

선찰대본산 범어사(禪刹大本山梵魚寺)는 영남의 3대 사찰 중 하나인 범어사[7세기경인 신라 문무왕 때 의상 대사에 의하여 창건되었다는 설과 9세기 흥덕왕 때 창건되었다는 두 가지 설이 있음]에는 유구한 역사만큼이나 다양하고 수많은 불교 문화재가 안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의 화재로 소실되고, 1613년(광해군 5)부터 1700년대 초반까지 중건되었다. 범어사 내에 산재된 불교 문화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종합적으로 연구·전시하기 위하여 1999년 12월 20일 박물관 건립을 시작하여 2003년 3월 26일 개관하였다.

[구성]

박물관의 총 시설 규모는 대지 면적 355.68㎡, 연면적 505.44㎡ 규모로 지상 1층과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 1층에는 전시실과 관장실이 있다. 전시실에는 4개의 쇼케이스에 10곳의 진열장을 갖추고 있으며, 범어사의 역사와 주제 전시실[책판·서적], 불교 문화 공예품, 동산 대종사 유품, 기획 전시 영정가가 전시되고 있다. 지하 1층에는 수장고, 학예 연구실, 기계실이 있다.

[현황]

범어사 성보박물관범어사의 역사적 유물, 자료, 예술품, 그 밖의 학술 자료를 수집·보존·진열하고 일반에게 전시하는 시설로 학술 연구와 불교 포교 및 사회 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큰 시설이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매주 월요일과 설·추석에는 휴관을 한다.

범어사 성보박물관범어사의 오랜 역사를 증명하듯 많은 종류의 유물이 다수 전시되어 있다. 현존하는 범어사의 불상, 불화, 영정, 전적 등 다양한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역사적 가치가 높은 1,000여 종의 불교 서적과 책판류를 소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고전적만 660종 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중 『삼국유사(三國遺事)』, 『불조삼경(佛祖三經)』, 『금강요집경(金藏要集經)』, 『주범망경(注梵網經)』과 같은 보물과 『대전화상주심경(大顚和尙注心經)』, 『함허어록(涵虛語錄)』, 『불조역대통재(佛祖歷代通載)』등과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도 진열 전시되어 있다.

또한 17~19세기에 제작된 불상 20여 구와 영정 40여 점[의상 대사를 비롯하여 국가에 공을 세웠거나 조선 불교의 중흥에 힘쓴 승려, 범어사 주석 등]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불교 공예와 불교 미술품들도 전시되어 있다. 전시 공예 미술품으로는 사찰 의식에 주로 사용되었던 금고(金鼓)와 요발(鐃鈸), 연(輦) 등의 의식 법구(儀式法具), 향로(香爐)와 향완(香椀) 및 유제 대발(鍮製大鉢) 등의 공양 법구(供養法具), 불전 내의 불단(佛壇)에 안치되었던 원패(願牌)와 소통(疏筒) 및 불감(佛龕), 사찰 외부를 장엄하는 기능을 지닌 기와류, 인통(印筒)과 등잔(燈盞)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