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7315 |
---|---|
한자 | 釜慶高等學校 |
영어의미역 | Bukyeong High School |
이칭/별칭 | 부경고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망양로33번길 12[서대신동 3가 52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성애 |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건강하고 성실하며,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민주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탐구, 지혜, 봉사’이다.
[변천]
1905년(고종 42) 8월에 거류민회에서 갑종 과정의 민단립 상업 학교 설치의 건을 결의하였고, 1906년(고종 43) 4월 1일에 서산하정(西山下町)[현재의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3가] 가교사에서 수업[4년 과정]을 개시였으며, 그해 4월 10일에 부산상업학교로 개교하였다. 1907년(순종 1) 1월에 일본 문부성의 재외지정학교(在外指定學校)로 되었고, 그해 7월에 보수정(寶水町)[현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동]으로 이전하였다. 1908년(순종 2) 4월에는 문부성의 인정을 받음과 함께 3년 과정으로 변경하였으며, 1911년 4월에 예과 1년을 더하여 4년 과정으로 변경하였다. 1912년 4월에 조선상업공립상업전수학교관제(朝鮮商業公立商業專修學校官制) 및 규칙의 실시에 따라 부산공립상업전수학교(釜山公立商業專修學校)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동년 5월에는 대신리(大新里)[현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동]의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다.
1914년 거류민단 폐지와 함께 학교 조합으로 이관하였으며, 1915년 1월에 부산공립상업전수학교 교우회(校友會)가 구산(龜山) 유원지에 기숙사를 신축 낙성하여 총 공비 3,000여 엔이 투입되었다. 같은 해 4월에 심상소학교 졸업생을 곧바로 입학시킬 수 있도록 예과를 2년제로 연장하여 5년 과정으로 개편되었다. 1922년 3월에는 도지방비(道地方費)로 이관하여 부산공립상업학교(釜山公立商業學校)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26년 3월 31일에 부산제1공립상업학교(釜山第一公立商業學校)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31년 10월 10일에 창립 25주년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일시 폐교되었다가 그해 10월에 부산제1상업학교는 잔류 한국인 학생 13명으로 부산제2상업학교[현 개성고등학교]와 같이 개교하였다가, 학생을 새로 모집하여 4학급을 편성하여 현 동신초등학교 자리[서구 동대신동 3가]에서 같은 해 11월 14일에 부산제1공립상업학교로 정식 개교하였다. 1946년 4월 1일에 서대신동 3가의 현 위치로 이전하고, 경남공립상업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1년 9월 1일에 6년제 중학교가 학제 개편으로 고등학교와 중학교로 분리되고, ‘경남’이라는 교명이 모두 ‘부산 제일’로 개칭되어 부산제일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54년 3월 31일에 다시 학제 개편이 되어 ‘부산 제일’이 ‘경남’으로 개칭되어 경남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4년 9월 1일에 일반계 고등학교로 전환 확정되어 부경고등학교로 다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65회 졸업식을 통해 270명이 졸업하여 총 2만 948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같은 해 3월 1일에 제29대 송덕삼 교장이 취임하였다.
[교육 활동]
부경고등학교의 중점 교육은 첫째, 인간 존중을 지향하는 기초·기본 교육 충실, 둘째, 지식 문화 사회를 주도할 인적 자원 개발, 셋째, 교육 환경 개선으로 교단 지원 강화, 넷째, 자율과 책임의 선진 교육 행정 구현이다. 세부 내용은 ‘첫째, 체험 실천 위주의 창의·인성 교육으로 건전한 생활 습관을 형성하도록 한다, 둘째, 다양성을 존중하는 교육 과정 편성 운영과 맞춤형 교수·학습 방법을 지원하여 학생의 학력 신장에 힘쓴다, 셋째, 수월성 교육 및 외국어 교육을 강화하여 국제적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한다, 넷째, 폭력 없는 학교, 학생들이 오고 싶은 학교가 되도록 안전하고 깨끗한 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다섯째, 교원의 전문성 제고를 통해 학부모·지역 사회로부터 신뢰받는 학교를 만든다’이다.
학교 특색 사업은 첫째, 국제 교육 교류를 통한 국제 이해 교육 활성화이다. 변화하는 세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국제 이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됨에 따라, 2007학년도부터 일본 송상학원고등학교[맛쇼이고등학교]와 국제 교류를 꾸준히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 문화의 우수성 및 글로벌 시대에 발맞춘 전인적인 인간으로서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도록 하고 있다. 둘째, 과학·수학 교과 교실제 운영이다. 인문 소양과 심도 있는 과학 지식을 겸비한 청소년과 우수 이공계 인력 및 풍부한 과학 소양을 가진 인문 사회계 인력을 양성하며,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탐구·체험 학습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한 창의성을 계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인사 잘하기의 생활 지도 강화이다. 청소년 시기 중 고교 시절은 자신의 인생관·세계관 확립에 가장 중요한 시기이므로, ‘인사 잘하기’를 통하여 현대 사회의 문제점인 무관심과 소외를 극복하고, 공동체 상호 간의 긍정적 소통을 기반으로 타인과 자신을 함께 소중히 여기는 자세를 기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자신과 가정과 사회에 큰 피해를 주는 ‘폭력·괴롭힘·따돌림’ 현상에 대한 사회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학교 교육 목표로서 ‘인사 잘하기’를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학교 폭력을 예방하고, 학생 자신의 자존감과 삶의 의미를 강조하고자 한다.
2007년 4월 21일에 제44회 부산 MBC배 전국 고교 축구 대회에서 우승하였으며, 그해 5월 26일에는 제38회 문화관광부 장관배 고교 축구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2008년 6월 30일에 제34회 대한축구협회장배 전국 고교 축구 대회에서 우승하였고, 2010년 8월 18일에는 제35회 대한축구협회장배 전국 고교 축구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그해 11월 13일에는 대교 눈높이 전국 고교 축구 리그 왕 중 왕전에서, 2012년 2월 25일에는 제36회 대한축구협회장배 전국 고교 축구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김재근/작곡 강삼영/편곡 송영명]
창공에 빼어난 구덕의 높은 메/ 그 기슭에 우뚝한 우리의 모교/ 씩씩한 우리들의 이상은 크도다/ 이 나라 길이길이 지키어 나갈/ 우리들의 앞길엔 희망이 찼네/ 기르자 우리 모교 부경 부경고등학교.
2. 교목: 소나무이다.
3. 교화: 장미이다.
4. 상징: 사자이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24학급에 768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8학급에 249명, 2학년은 인문 사회 4학급에 145명, 자연 이공 3학급에 93명, 예체능 1학급에 27명, 3학년은 인문 사회 4학급에 137명, 자연 이공 4학급에 117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56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6명으로 총 74명이 근무하고 있다. 교지 총면적은 2만 3680㎡로, 이 중 교사 면적이 9,899.89㎡, 기타 건물 면적이 538.99㎡, 강당 면적이 1,330.23㎡, 생활관 면적이 1,458㎡, 운동장 면적이 9,373㎡이다. 도서실, 역사관, 정보 처리실, 과학실, 미술실, 음악실, 컴퓨터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