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267
한자 明正學敎
영어의미역 Myeongjeon School
이칭/별칭 사립 명정학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화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육 기관
설립자 범어사
인가 시기/일시 1908년 5월 1일 -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06년 6월연표보기 - 개교
개교 시기/일시 1926년 3월 15일 - 범어사 불교 전문 강원으로 개원
폐교 시기/일시 1919년 3월 31일연표보기 - 폐교
폐교 시기/일시 1943년 - 범어사 불교 전문 강원 폐원
최초 설립지 명정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근대 시기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었던 사립 교육 기관.

[교육 목표(교훈 포함)]

을사조약이 체결된 다음 해인 1906년(고종 43)에 호국 불교의 정신으로 불교계에서는 민족 교육을 통해 나라의 미래를 밝히고자 뜻있는 승려와 지식인들이 모여 종교적 기능뿐 아니라 교육적·계몽적 기능까지 수행하고자 사립 명정학교를 개설하였다.

[변천]

1906년 6월 일제 침략이 본격화된 시기에 민족 교육의 산실로서 범어사(梵魚寺) 금어암[현재의 범어사 관음전]에서 명정학교로 개교하였다. 1908년(순종 2) 5월 1일에 4년제 사립 명정학교로 인가받았으며, 1919년 3월 31일에 재학생의 3·1 운동 참가와 동래 장날 만세 사건에 의해 강제 폐교 조치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복교를 신청하였지만 허가가 나지 않아 1926년 3월 15일에 범어사 불교 전문 강원으로 개원하였으며, 1943년에 조선어학회 사건에 의해 다시 강제 폐원되었다.

명정학교는 현재 폐교되고 없지만 동래 지역 민족 교육의 산실로서 1946년에 개교한 금정중학교[범어사에서 금정초급중학교로 개교해 1947년 현 위치로 신축 이전]와 청룡초등학교[1908년 인가된 사립 명정학교에서 그 연원을 잡고 1927년에 사립 명정보통학교로 개칭하였다가, 1931년에 청룡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현재까지 이어짐]를 통해 그 건학 이념이 이어지고 있다.

[교육 활동]

명정학교에 대해서는 교육 활동 분야로는 알려진 바가 없다. 1913년에 명정학교 내에서 보습 과정이 개설되는 등 농민 진흥 활동도 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