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7140
한자 國立釜山機械工業高等學校
영어의미역 Busan National Mechanical Technical High School
이칭/별칭 기계공업고등학교,국립부산기계공고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569[우동 47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국립 고등학교
설립자 부산직할시
전화 051-741-5111
홈페이지 국립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http://bmt.hs.kr)
인가 시기/일시 1967년 1월 - 한독직업학교로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67년 3월연표보기 - 한독직업학교로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68년 2월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430-1번지에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569[우동 471번지]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74년 3월연표보기 - 한독직업학교에서 부산기계공업학교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77년 9월연표보기 - 부산기계공업학교에서 국립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7년 10월 - 특수 목적 고등학교[공업계열]로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8월 - 일본 히로시마현립공업고등학교와 자매결연 체결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2월 - 마이스터 고등학교로 지정
최초 설립지 한독직업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430-1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한독직업학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569[우동 471]
현 소재지 국립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569[우동 47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국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스스로 행동하는 기술인 육성’이다. 교훈은 ‘성실, 근면, 정확, 검소’이다.

[변천]

1967년 1월에 한독직업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에 부산수산대학의 임시 가교사에서 개교하였다. 1968년 2월에 임시 교사에서 해운대구 우동의 현 교사로 이전하였다. 1974년 3월에 부산기계공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77년 9월에는 국립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44회 졸업식을 통해 291명이 졸업하여 총 2만 7822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국립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의 중점 활동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따뜻한 품성을 갖춘 건강한 인간관계 형성이다. 세부 내용은 ‘첫째, 지속적인 기본 생활 습관 교육을 통해 질서와 규칙을 존중하는 민주 시민 의식을 고취시킨다, 둘째,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건전한 인성과 사회성을 기른다, 셋째, 개인 및 단체가 참여하는 봉사 활동 체험을 통해 상부상조하는 협동심을 북돋운다, 넷째,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더불어 사는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킨다, 다섯째, 학교 체육 활동을 활성화하여 학생들의 건강한 신체 발육을 돕는다, 여섯째, 개인위생 교육을 강화하고 보건 위생 시설 및 학교 급식을 철저히 관리하여 학생 건강을 유지한다, 일곱째, 다양한 녹색 성장 교육의 강화로 환경 보존의 필요성을 재인식하고 쾌적한 환경을 가꾸는 것을 생활화한다, 여덟째, 국가 정체성 교육 및 통일 대비 교육을 강화함으로써 전통 문화에 자긍심을 높이고 애국심을 고취한다’이다.

중점 활동 두 번째는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인적 자원 양성이다. 세부 내용은 ‘첫째, 기초·기본 학습의 책임 지도와 수준별 수업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함양하고 학력을 신장시킨다, 둘째,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연수·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교내 자율 장학을 강화하여 교사들의 수업 지도 능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다양한 평가 방법을 개발·적용하고 학력 평가 관리를 강화하여 평가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한다, 넷째, 독서 교육을 강화하여 책 읽는 습관을 정착시키고 종합적 사고 능력을 기른다, 다섯째, 탐구 및 실험 활동 중심의 수리·과학 교육을 통하여 창의적 탐구 능력을 함양하게 한다, 여섯째, 실용 영어 중심의 교육을 통해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진취적 기상을 가진 세계 시민으로 육성한다, 일곱째, 창업 및 경제 교육의 활성화로 창업 실무 능력을 신장시킨다, 여덟째, 방과 후 활동의 강화로 창의적 인적 자원을 육성한다’이다.

중점 활동 세 번째는 공학적 문제 해결 능력을 스스로 갖춘 영 마이스터 육성이다. 세부 내용은 ‘첫째, 교육 과정 운영의 내실화를 통하여 전문화·특성화되는 산업 사회에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둘째, 마이스터 고등학교 운영 내실화를 통하여 세계 최고의 영 마이스터를 육성한다, 셋째, 교내 정보 인프라를 확충하고 정보화 교육을 내실화하며, 정보 통신 윤리 및 예절 교육을 강화하여 지식 기반 사회에 필요한 정보 활용 능력을 함양한다, 넷째, 실생활 중심의 다양한 국제 이해 교육을 통해 외국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진취적 기상을 가진 세계 시민으로 육성한다, 다섯째, 진로 상담 활동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진로·진학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주적 진로 선택 능력을 기른다, 여섯째, 직업 교육 여건 개선을 통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킨다, 일곱째, 산학 협동 및 현장 실습의 내실화와 각종 기능 경진 대회의 활성화를 통하여 현장 적응력을 기른다’이다.

학교 특색 사업은 기술 영재반 운영을 통한 기술 영재 육성, 기능 동아리 운영, 인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생활 지도 전개이다. 첫째, 기술 영재반 운영을 통한 기술 영재 육성은 기술 영재반 운영으로 대기업과 해외 취업 의식 고취, 기술 멘토제 운영으로 전문성 강화를 통해 이루고자 한다. 둘째, 기능 동아리 운영은 국가 산업 발전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우수 기능 인력 육성 및 배출,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특정 분야의 전문 기술을 익혀 산업 현장 적응력 향상, 다양한 전문 기술의 습득으로 지역 사회의 기술 인력 충원 및 인재 육성을 하고자 한다. 셋째는 인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생활 지도 전개로, 기초 생활 습관의 정착으로 민주 시민 의식 함양, 학습 자치 능력을 신장시켜 리더십을 갖춘 영 마이스터 육성, 즐겁고 건강한 학교 문화 조성을 이루고자 한다.

1977년 10월에 특수 목적 고등학교[공업계열]로 지정받았고, 2000년 8월에는 일본 히로시마현립공업고등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2009년 2월에는 마이스터 고등학교로 지정되었고, 그해 5월에 자율 학교로 지정되었다. 또한 부산 기능 경기 대회와 전국 기능 경기 대회에 매년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올리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주홍/작곡 조두남]

부상을 바라보며 우뚝 솟은 곳/ 지혜로 활짝 열린 탐구의 전당/ 번영하는 조국의 심장이고/ 저 스스로 바퀴 되어 도는 동맥들/ 자립의 기쁨으로 부푸는 동산/ 영광의 그 이름이여 부산기계교.

2. 교목: 해송[흑송]이다.

3. 교화: 금잔화이다.

[현황]

2013년 현재 총45학급에 895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1학년은 정밀 기계과 3학급에 61명, 금형 설계과 3학급에 61명, 조선 기계과 3학급에 60명, 로봇 테크과 6학급에 120명, 2학년은 정밀 기계과 3학급에 57명, 금형 설계과 3학급에 60명, 조선 기계과 3학급에 60명, 로봇 테크과 6학급에 121명, 3학년은 정밀 기계과 3학급에 58명, 금형 설계과 4학급에 80명, 조선 기계과 3학급에 58명, 메카트로닉스과 5학급에 99명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2명, 교사 113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50명으로 총 166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총면적은 14만 2651㎡로, 교육부 협약 실습장[188㎡], 실험 실습장[2만 1161㎡], 도서관, 강당 겸 체육관, 학생 생활관, 사회 복지 시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 국립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http://bmt.hs.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