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979
한자 -圖書館
영어의미역 Small Library
이칭/별칭 꿈사랑 작은 도서관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경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9년 6월 26일 - 개소식
시행 지역 작은 도서관 - 부산광역시 일대

[정의]

부산 지역에서 사회생활 및 문화 향상에 이바지하도록 운영하는 작은 도서관 시설.

[개설]

작은 도서관은 국민의 지식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생활 친화적 도서관 문화의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부산의 자치 단체, 법인, 단체, 개인 등이 운영하는 도서관이다. 2000년부터 부산의 시립 도서관 10개[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제외]에서 1개소 이상의 평생 마을을 운영하도록 하여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3개, 연산도서관 2개, 나머지 도서관은 1개소씩 총 13개를 운영하였다. 그리고 부산시 교육청에서 소규모 도서관을 운영하다가 시민 도서관으로 이관한 것이 쌈지도서관으로 총 28개소였다.

이러한 평생 마을과 쌈지도서관이 통합되어 2011년에 「작은 도서관 진흥법」에 의하여 작은 도서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후 문화관광부가 부산의 자치구·군으로 이관한 것이 24개소, 부산의 자치구·군에서 자체 개소한 작은 도서관이 3개소, 사립 작은 도서관이 128개소로, 2012년 6월 30일 현재 부산에 206개의 작은 도서관이 운영되고 있다.

[운영 방향]

지역 주민들의 정보 자료 욕구 충족을 위하여 매월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도서 자료 순환 대출로 지역 주민들의 독서 생활화에 기여하고 있다. 지역 주민의 수요에 맞춘 평생 학습 프로그램 및 자녀 지도를 위한 학부모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한 독서·논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평생 학습 축제 개최 등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운영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참여를 극대화하여 평생 학습 문화 센터로서의 역할을 해 왔다. 법령으로 장서 1,000권 이상, 좌석 6개 이상이 되면 작은 도서관으로 개소가 허가되었다.

[운영 사례]

시립 도서관의 경우, 해운대도서관[면적 88㎡, 좌석 수 30석 규모]은 ‘꿈사랑 작은 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해운대구 좌동 주공아파트 2단지 관리 사무소 2층에 열고 있다. 도서관의 운영 방향은 독서 생활화 운동을 지역 사회로 확산하고, ‘책과 가까이’ 운동으로 평생 학습의 능력을 배양하며, 지역 주민들의 생활 가까운 곳에 평생 학습의 장을 제공하고, 평생 교육의 역할을 수여할 뿐만 아니라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자원 봉사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에서는 책누리작은도서관, 책나무그늘작은도서관, 책바다작은도서관 등을 운영하고 있다. 책누리작은도서관[면적 99㎡, 좌석 수 24개 규모]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에 소재하는 대림아파트와 인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책나무그늘작은도서관[면적 148㎡, 좌석 수 50개 규모]은 남구 용호동의 일신-님아파트 및 인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책바다작은도서관[면적 115.5㎡, 좌석 수 32개 규모]은 영도구 청학동의 롯데낙천대아파트 및 인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각각 운영되고 있다. 중앙 도서관의 작은 도서관은 문화 강좌 개설, 학부모 연수 개설, 권장 도서 목록 배부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현황]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