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932
한자 -學校
영어의미역 Udada Alternative School
이칭/별칭 우다다학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예전로 84[청룡동 29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선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대안 학교
설립자 김복남|이정화
전화 051-514-8812
홈페이지 거침없는 우다다학교(www.udada.or.kr)
개교 시기/일시 2001년 4월 23일연표보기 - 도시 속 작은 학교로 개교
이전 시기/일시 2004년 3월 1일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으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2008년 2월 1일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에서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예전로 84[청룡동 299]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2006년 3월 1일연표보기 - 도시 속 작은 학교에서 거침없는 우다다학교로 개칭
관련사항 시기/일시 2005년 - 중등 3년, 고등 2년으로 재편
관련사항 시기/일시 2009년 2월 2일 - 우다다청소년재단 설립
최초 설립지 도시 속 작은 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주소 변경 이력 도시 속 작은 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
현 소재지 거침없는 우다다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예전로 84[청룡동 299]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사립 대안 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우다다’는 ‘우리는 다 다르다’를 줄인 말로 거침없는 우다다학교는 인간 존재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특출한 개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낮은 곳의 삶과 작은 일상을 중요하게 여기는 교육을 지향하며, 세상을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크고 작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극복하는 힘과 용기를 키워 주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변천]

2000년 김복남과 이정화 등이 저소득층의 중퇴 청소년을 대상으로 ‘도시 속 작은 학교’를 기획하였다. 2001년 2월에 사랑의 도시락보내기 운동본부 정기 이사회에서 학교 설립을 의결하였고, 그해 4월 23일에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서 ‘도시 속 작은 학교’로 개교하였다. 제1기생은 11명의 청소년이었고, 교사는 25명이었다. 2002년 수료 6명과 명예 수료 1명으로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제2기 입학생부터는 2년 4학기제로 전환하였다. 2004년 3월 1일에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2005년에는 중등 과정과 고등 과정으로 교육 과정을 세분화하였다. 2006년 3월 1일에 학교의 애칭으로 불리던 ‘거침없는 우다다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예비 학교를 개설하였으며, 생활관 입주를 하였다. 2009년 2월 2일에는 우다다청소년재단을 설립하였다. 2008년 2월 1일에 현재의 교사가 있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으로 이전하여 개소식을 치렀다. 2012년까지 총 4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거침없는 우다다학교의 교과 과정은 중등 3년과 고등 2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년과 과정은 나이가 아니라 학생의 준비 정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논의를 통해 교무 회의에서 결정한다. 교과로는 정규 교과와 프로젝트 교과가 있다. 정규 교과는 지식 학습, 예체능 심리 학습, 현장 학습으로 구성된다. 프로젝트 교과는 농촌 봉사 활동, 자원 봉사 활동, 보따리 수업, 참 아름다운 도전, ‘일 더하기 일은? 일!’, 일본 국제 교류 사업, 도보 여행 프로젝트, 인턴쉽 프로젝트 등으로 구성된다. 이외에 각종 행사가 있는데, 1년간 교과 과정의 총화로서 학년 말에 실시되는 우다다 예술제는 거침없는 우다다학교의 대표적인 행사이다. 우다다 예술제는 2001년 개교 이후 매년 한 차례씩 주제를 다르게 하여 2012년까지 12회째 개최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참여가 활발하다.

중등 3년 과정과 고등 2년 과정을 거치면 졸업 신청 후 졸업 심사를 통해 졸업이 결정된다. 중등 과정의 경우 학생의 향후에 대한 의지, 프로젝트 수행 정도, 출결 상황, 학부모 및 담임 교사 의견을 기준으로 졸업 심사가 진행된다. 고등 과정의 경우는 해당 졸업 연도에 졸업 프로젝트와 인턴쉽 프로젝트를 수행하여야 한다. 필수 과목은 1인 1악기, 1인 2작품, 1인 2체육 활동, 1학기 이상의 편집부 활동, 진로 상담이 있다. 심사 통과 시에 졸업장을 받고 졸업 여행을 갈 수 있으며, 그 외에는 수료증만 받는다. 고등 과정 2년 이후 본인 및 학부모의 의견을 종합하여 과정을 1년 연장할 수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71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교직원은 교사 4명과 자원 봉사자[교사] 20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용지는 521㎡로 우다다청소년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자원 봉사자[교사]는 매학기 시작 전 공고하여 모집하며, 면접 후 수업 계획서 제출, 재논의 과정을 거쳐 수업이 배정된다.

[참고문헌]
  • 거침없는 우다다학교(www.udada.or.kr)
  • 인터뷰(거침없는 우다다학교 교장 김복남, 2013. 3. 9)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