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927 |
---|---|
한자 | 代案學校 |
영어의미역 | Alternative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안경식 |
[정의]
부산광역시에 있는, 공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학습자 중심의 자율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
[개설]
교육인적자원부에서 2007년에 발간한 『대안 교육 백서[1997~2007]』에서는 대안학교를 학력 인정 여부에 따라 크게 인가형 대안학교와 비인가형 대안학교로 구분하고 있다. 인가형 대안학교는 다시 특성화 대안학교와 위탁형 대안학교로 구분되고, 비인가형 대안학교는 중등 대안 학교[전원형 대안학교와 도시형 대안학교]와 초등 대안학교, 그리고 통합형 대안학교로 구분되어 있다.
[부산 지역의 대안학교]
부산광역시의 대안학교 역사는 2000년경부터 시작되어 1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13년 현재 부산광역시의 특성화 대안학교는 지구촌고등학교(2020년 3월 폐교)가 유일하며, 위탁형 대안학교로 부산자유학교와 양정중학교, 아시아공동체학교, 부경보건중고등학교 등 네 곳이 있다. 또 비인가형 대안학교로는 도시형 대안학교 형태로 거침없는 우다다학교와 부산발도로프학교, 온새미학교, 참빛학교 등이 있고, 종교형 대안학교인 하누리국제학교, 부산꽃피는 학교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의 대안 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는 부산광역시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부산대안교육지원센터[1999년 개설]가 있으며, 대안 교육 협의회로는 부산경남대안교육협의회[2006년 결성]가 있다.
부산대안교육지원센터는 일주일 정도의 단기 과정으로 학교 부적응자를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자유학교와 양정중학교 등의 위탁형 대안학교와 부산대학교 병원, 동아의료원 등의 병원 학교도 병원 대안학교로서 관리하고 있다. 부산경남대안교육협의회는 거침없는 우다다학교를 비롯한 15개 단체가 참여하여 결성되었다. 현직 교사들의 모임으로는 대안교육과정연구회 등이 결성되어 활동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