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허랑 타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808
한자 虛浪-
영어의미역 Ballad of Heorang
이칭/별칭 「아리랑 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집필자 류경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유희요
토리 강원도 아리랑조
기능구분 가창 유희요
형식구분 독창|제창
가창자/시연자 김윤조[남, 81]
채록 시기/일시 1999년 9월 10일 - 김윤조[남, 81]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0년 2월 28일 - 류종목 저,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 수록
채록지 다대서부 경로당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서 어울려 놀면서 흥을 돋우며 부르는 유희요.

[개설]

「허랑 타령」사하구 다대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강원도 아리랑」조로 불리는 연장체로 상당히 긴 가창 유희요이다. 이는 후렴 부분의 가사에 ‘아리랑’이란 말이 들어 있기 때문에 「아리랑 타령」이라고도 한다. 「허랑 타령」의 사설에는 남녀 사이의 사랑을 비롯하여 다양한 생활 모습이 나타나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10년 류종목이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간행한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에 실려 있다. 이는 1999년 9월 10일 동아대학교 조사팀이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으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김윤조[남, 81]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허랑 타령」은 가창 유희요로서 대체로 제창이나 독창으로 불린다. 「허랑 타령」의 노랫말은 일정하게 정해진 것이 없으며, 가창자의 재량이나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내용]

내사랑 눈이 떨어지면은/ 낭군님은 오신다고 전편지로왔건마는/ 제부모 눈이두려워서 전송을 몬가네/ 아리랑 쓰리랑 아라리요/ 아리아리랑 고개절씨구 나를넘기만주소// 정든님만날적에는 어떻게해야될는지 모르겠지만/ 그당시에만난것은 꿈인지생시인지 나는몰라주네/ 아리랑 쓰리랑 아라리요/ 아리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전기불밝아서 신작질즐겁기도 [불명]/ 아리랑 쓰리랑 아라리요/ 아리아리랑 고개절시고 나를넘기만주소// [하략].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허랑 타령」은 민중들이 일상을 벗어나 여가를 즐기는 공간에서 불렀던 것으로, 노랫말이나 노래하는 현장을 통해 여유로운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현황]

「허랑 타령」과 같은 유희요는 노동요나 의식요 등에 비해 오늘날까지도 그 기능을 잘 유지하고 있는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허랑 타령」은 노랫말 속에 다양한 내용을 담아내고 있어 민중들의 다양한 사고와 삶의 모습들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