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774 |
---|---|
한자 | 韓美經濟協定反對慶南共同鬪爭委員會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종세 |
[정의]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에 있었던 한미 경제 협정 반대 운동 단체.
[설립 목적]
한미경제협정 반대 경남공동투쟁위원회는 1961년 2월 8일 장면(張勉) 정권이 조인한 한미 경제 협정을 한국 경제에 대한 미국의 감독권을 강화하고 경제 주권을 현저히 침해하는 비자주적인 것이라고 규정하고, 협정에 반대하는 범국민적 저항을 전개하기 위하여 결성되었다.
[변천]
2월 18일 사회당 경남도당준비위원회, 민주민족청년동맹 경남맹부, 민족자주통일경남협의회준비위원회, 통일민주청년동맹준비위원회 등 경상남도의 정당, 사회단체가 연대하여 한미경제협정 반대 경남공동투쟁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의장단은 정종권 외 6명으로 하고, 7명의 상임 위원장을 두었다. 이에 앞서 서울에서도 사회당을 중심으로 16개 정당, 사회단체가 참여하는 한미경제협정 반대 공동투쟁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미경제협정 반대 경남공동투쟁위원회는 2월 22일 부산역 광장에서 한미 경제 협정 반대 시민 궐기 대회를 개최하였다. 대회장에는 ‘경제 협정 반대하고, 자립 경제 확립하자’는 등의 플래카드를 세우고, 대회 참가자들은 한미 경제 협정은 “주권 국가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협정”이라 주장하고, 이런 상태의 미국의 경제 원조는 한국 경제에 해독을 만연시키는 것이라 비난하였다. 대회에서는 ‘전 민족에게 보내는 호소문’을 낭독하고 ‘장면 정권에 보내는 항의문’, ‘국회에 보내는 경고문’, ‘미 대통령에게 보내는 메시지’ 등을 채택하였다.
[의의와 평가]
진보적인 정당 사회단체들이 정파적 차이와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경제 주권의 수호를 위해 연대하여 범국민적 저항을 이끌어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