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부산지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764
한자 韓國大學生佛敎聯合會釜山支部
영어의미역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of Buddhist Federation Busan Branch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 151-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연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불교 단체
설립자 이강문|이상호|김청세|한고희|이양환|이종운|이근옥|이인범
전화 051-248-0011
설립 시기/일시 1965년 9월 8일연표보기 - 창립
최초 설립지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부산지부 -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1가 6
현 소재지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부산지부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 151-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1가에 있는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소속 부산 지역 지부.

[설립 목적]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부산지부는 한국의 불교를 대중 불교로 이끌어 자아 완성과 복지 사회 건설을 위해 창립되었다.

[변천]

1963년 9월 22일 동국대학교 중강당에서 각 지방 대학생의 참석과 함께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대각사를 중심으로 활동을 하던 불교학생회가 소멸된 후 7년의 공백기를 거쳐, 1965년 4월 27일 동아대학교 불교학생회가 창립되어 용두산 공원 내 대승불교회 법당에서 매주 토요일 정기 법회를 보며 이끌어 갔다.

1965년 7월 13일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제4차 수련 대회가 범어사에서 개최되었는데, 여기에 참석한 동아대학교의 이강문, 한고희, 이양환, 이종운과 부산대학교의 이상호, 부산의대의 김청세 등이 부산지부의 발족을 협의하였으며, 측면에서는 승려 현성주와 작고한 김석환이 지도하였다. 1965년 9월 8일에 대각사에서 위의 6명에다 부산여자대학[현 신라대학교]의 이근옥, 이인범 등 8명이 창립 위원이 되고, 이강문이 초대 지부장으로 선출되어 마침내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부산지부를 창립시켰다.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부산지부가 가장 많이 활동을 할 때는 1980년대 후반이었다. 그러나 1987년 6·10 항쟁을 기점으로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의 활동이 서서히 하향 곡선을 그리기 시작하였고 침체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가 창립된 1960년대에는 각 지부, 지회의 연대 차원의 구도 행사·수련 행사, 불교 사상 강연회라는 모범적인 행사를 중점적으로 실시하면서 전국 차원의 불교 학생회 강화를 이루어내는 과정이었다.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부산지부대각사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부산불교중·고등학생회, 부산불교청년회, 부산불교신도회 창립에 산파역을 하면서 부산 불교 대중화에 앞장섰다.

1970년대에는 대대적인 전국 차원의 봉사적 행사를 통해 사회의 현실에 동참하였다.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부산지부는 소림사를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각 대학 불교학생회도 왕성한 활동을 하는 등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 학도 호국단이 설치되면서 규제를 많이 받았다. 1980년대에는 방대한 조직력과 선진적인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실천자로서의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가 되고자 하는 구체적인 청년의 기상과 몸짓이 나타난 시대였다. 1990년대에는 포교와 신행에 대한 구체적인 시도를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대중들과 함께 진행함과 동시에 수행에 기반한 신앙 활동 강화, 불교적 삶과 구체적 실천을 위한 목적 속에서 ‘수행 학교’를 실시하여 전국적인 차원에서의 수행과 삶을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의 불교적 삶으로 내오기 위한 사업과 교육을 실시하게 되었다.

[현황]

2000년대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부산지부는 신앙·수행·실천 공동체를 형성하고자 진실한 신앙, 생활 속의 수행, 자비의 실천이라는 세 가지 사업 방향에 주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의 불교를 대중 불교로 이끌어 내기 위해 창립되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약간의 침체를 보인적은 있다. 하지만 침체를 잘 극복하여 현재까지 진실한 신앙, 생활 속의 수행, 자비의 실천이라는 세 가지 사업 방향에 따라 지부 차원의 새로운 대중적 수행 활동을 실험하고 법회를 활성화하며 국제 봉사 활동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