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735 |
---|---|
한자 | 砲手- |
영어의미역 | Song of a Hunter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
집필자 | 류경자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어울려 놀면서 부르는 유희요.
[개설]
「포수 노래」는 사냥 나온 포수에게 산짐승이 자문자답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가창 유희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3년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간행한 『동래 향토지』에 실려 있다. 이는 1936년 8월 동래군 기장면[현재 부산광역시 기장군] 주민 감화봉에게서 채록한 것이다. 지역이나 제보자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전하지 않고 있다.
[구성 및 형식]
「포수 노래」는 가창 유희요로 제창이나 독창으로 불린다.
[내용]
포수 포수 박 포수야 날 잡아다 그 뭐할래/ 모동 모동 사리 모동 덤불 덤불 칠기[칡] 덤불/ 글로 먹고 사는 짐생 사람에게 해롭더나/ 짐승에게 해롭더나/ 아홉 새끼 낳아 놓고 해산 때가 좋지 못해/ 동래 온정(溫井) 물 먹으러 나는 갔네 나는 갔네/ 날 잘아다 그 뭐할래 이내 뿔을 빼었으면/ 선보[선비]님네 붓대 하고/ 이내 껍지[껍질] 뺏깄이면/ 늙으신네 샛대끈에 애기신네 골미집에/ 이내 눈을 빼었시면 사또 상에 장 종지요/ 이내 고시 노났시면 사또 상에 상 오르지.
* 늙으신네 샛대끈에 애기신네 골미집에: 늙은이의 열쇠 끈에 애기씨의 골무 집에.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포수 노래」는 부산 지역 민중들이 바쁜 일상을 벗어나 여가를 즐기는 공간에서 불렀던 가창 유희요로서 삶의 여유를 즐기는 민중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현황]
유희요는 노동요나 의식요 등에 비해 오늘날까지도 그 기능에 큰 변화가 없다. 그래서 본래의 모습을 잘 유지하면서 전승되고 있는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포수 노래」는 이미 부산 지역에서 다시 채록되지 않고 있어 전승이 원활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사냥 나온 포수를 본 산짐승의 마음을 그려낸 「포수 노래」는 부산 지역의 이름과 사투리가 많이 등장하여 두드러진 지역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