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천자풀이 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583
한자 千字-
영어의미역 Song of Thousand Characters
이칭/별칭 「천자풀이」,「천자문 풀이」,「하늘천 따지」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집필자 류경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유희요
기능구분 언어 유희요
형식구분 독창|제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0년 - 김사엽·최상수·방종현 공저, 『조선 민요 집성』에 수록
채록지 동래 지방 - 부산광역시 동래구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아이들이 천자문을 풀어서 놀이 삼아 부르는 유희요.

[개설]

「천자풀이 노래」는 천자문 가운데 가장 앞 구절에 있는 한자를 해학적으로 풀이하여 부르는 언어 유희요이다. 이를 「천자풀이」, 「천자문 풀이」, 「하늘천 따지」 등이라고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1950년 김사엽·최상수·방종현 등이 집필하고 정음사에서 간행한 『조선 민요 집성』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동요 항목에 동래 지방의 노래로 실려 있다.

[구성 및 형식]

「천자풀이 노래」는 천자문을 활용한 아이들의 말놀이로 2음보로 구성되어 있다. 가창 방식 역시 아이들의 말놀이 노래이다 보니 천자문을 읽는 듯 단순한 음률로 불리고 있다.

[내용]

하늘천 따지/ 가마솥에 누런밥/ 누런밥 딸딸끍어서/ 선생한그륵 처묵고/ 내한그륵 잡숫고.

* 누런밥: 누룽지.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천자문은 주로 한자, 한문 교육의 초기 단계에 사용되었다. 그래서 과거에는 천자문의 내용은 아동들에게도 비교적 익숙했다. 「천자풀이 노래」는 천자문의 글자를 풀어 노랫조로 꾸민 말놀이 동요로, 아이들의 놀이 방식과 놀이 문화를 잘 보여 주고 있다.

[현황]

오늘날은 아이들의 놀이 속에서 노래가 동반되는 경우를 보기가 쉽지 않다. 컴퓨터나 TV 등의 매체와 조기 교육의 열풍으로 인해 아이들이 모여 노래를 부르며 즐길 수 있는 시간을 제대로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때문에 「천자풀이 노래」는 후세로의 전승이 거의 끊긴 상태이며, 노인을 대상으로 어릴 때 불렀던 동요를 불러달라고 해야 들을 수 있는 노래들이 되어 버렸다.

[의의와 평가]

「천자풀이 노래」는 아이들의 말놀이 동요로, 아이들의 놀이에 따른 노래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육적인 차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