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임타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423
영어의미역 Korean Ballad for a Lover
이칭/별칭 「임노래」,「노랫가락」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집필자 류경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유희요
토리 경기 민요
기능구분 가창 유희요
형식구분 독창|제창
가창자/시연자 홍위조[여, 80]
채록 시기/일시 1993년 7월 22일 - 홍위조[여, 80]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12월 10일 - 김승찬·박경수·황경숙 공저,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
채록지 중리 마을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중리 마을에서 어울려 놀면서 흥을 돋우며 부르는 유희요.

[개설]

「임타령」은 어울려 놀 때 흥을 돋우며 부르기도 하지만, 혼자 있을 때 자기 위안 삼아 부르기도 하는 가창 유희요이다. 이를 「임노래」, 「노랫가락」 등이라고도 한다. 「임타령」은 임이 혹시 다른 사람을 품에 품고 있지는 않는가 하는 의심의 마음을 풀기 위해 하늘에 떠 있는 달에게 본대로 일러 달라는 사설로 되어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발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3년 7월 22일 부산대학교 조사팀이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중리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홍위조[여, 80]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임타령」은 가창 유희요로, 대체로 제창이나 독창으로 불린다. 가창 유희요란 어울려 놀 때 흥에 겨워 부르거나, 혼자 있을 때 자기 위안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노래하고자 하는 욕구 때문에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내용]

부재한 임에 대한 걱정스러운 심정을 달에 의지해 달래는 내용이다.

휘영청 찬달아 임우사창에 비친달아/ 임홀로 누웠놨더냐 명월아 본대로마 일러나다오/ 어난 부량자 품었더냐 지내간 밤에 꿈이좋더니/ 편지왔소 편지왔소 임우키에서 편지왔소/ 편지야 왔거난마는 임은어이 못오시노/ 동자야 먹갈아라 임우키로 답장하자/ 아이종아 술을부어라 잔대로만 가뜩부어라/ 취토록 먹어난후에 임오기로써 사생결단.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임타령」은 주로 부산 지역 민중들이 일상을 벗어나 여가를 즐기는 공간에서 불렀던 것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도 여유를 즐기는 삶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현황]

유희요는 노동요나 의식요 등에 비해 오늘날까지도 그 기능에 변함이 없다. 그래서 「임타령」도 본래의 모습을 그나마 잘 유지하고 있는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임타령」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두구동 중리 마을에서 채록된 노랫말 속에는 부산 지역의 사투리가 그대로 녹아 있어 언어의 표현 면에서 독창성을 지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