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240
한자 影島鄕土誌
영어의미역 Rural Area Record of Yeong Island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423[청학동 48-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토지
저자 부산광역시 영도구
편자 고신대학교 영도발전연구소
간행자 부산광역시 영도구
표제 영도 향토지
간행 시기/일시 2003년 2월연표보기 - 간행
간행처 『영도 향토지』 간행처 -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423[청학동 48-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지역의 역사와 문화 전반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향토지.

[편찬/간행 경위]

부산광역시 영도구는 1957년 구제(區制)가 실시되면서 탄생하였다. 1983년 『절영지』 발간 이후 새롭게 영도 지역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2003년 2월 11일 『영도 향토지(影島鄕土誌)』를 간행하였다.

[서지학적 상황]

영도구청 자료실, 부산광역시 시정정보자료실 등 부산 지역 공공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책은 사륙 배판이고, 총 521쪽이다. 크기는 가로 18.5㎝, 세로 26㎝이다.

[구성/내용]

『영도 향토지』는 총 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자연환경 편에서는 지리적 특성과 생태적 특성을 소개하고, 역사 편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영도 지역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동 변천사 편에서는 관내 동 내역과 현황을 소개하며, 이어서 문화·관광, 교육과 종교, 산업 경제, 정치·행정 및 재정, 생활 환경 등 각 방면의 다양한 내용들을 수록하고 있다. 부록에는 영도 토막 이야기, 각종 단체 명단, 영도 지역 식물상과 조류, 봉래산에 서식하는 곤충 목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1983년의 『절영지』 발간 이후 변화된 영도 지역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소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지역민들이 애향심을 고취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