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188
한자 藥水庵-沙上區-
영어의미역 Yaksuam in Sasang-gu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 산8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정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사찰
창건자 경파
전화 051-303-7586
건립 시기/일시 1890년경연표보기 - 창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 약사전 축조
최초 건립지 약수암[사상구]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 산 8지도보기
현 소재지 약수암[사상구]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 산 8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동에 있는 대한불교법화종 소속 사찰.

[건립 경위 및 변천]

약수암[사상구]은 1890년경 승려 경파가 화주 조청정화, 박보리화, 서본성월이라는 보살과 함께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1950년대부터 청명(靑明)이 주석하면서 불사를 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청명은 2005년 입적하기 전까지 청정한 수행의 자세로 널리 알려진 승려이다. 사리가 대웅전에 모셔져 있다.

[활동 사항]

용왕당의 약수는 한센병 환자도 치유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로 효험이 있다고 한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가람 구성은 대웅전과 약사전, 삼성각, 종각 그리고 요사로 이루어져 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팔작지붕에 주심포 형식이며 1950년대 초에 건립한 전각이다. 주련은 몇 해 전 입적한 법화종 종정 구암의 글씨라고 한다. 외벽에는 여러 명의 나한을 묘사한 나한도와 함께 달마 수행도,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 등이 그려져 있다.

대웅전 건립 시기와 같은 1950년대 초반에 지어진 삼성각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주심포 형식이다. 외벽화는 없으며 오른쪽 외벽에 창방이 하나 나 있다. 주련은 역시 구암의 글씨이다. 내부에는 중앙에 독성탱이 안치되어 있으며 오른쪽에 석고로 조성한 용왕상과 용왕탱이 있다. 독성탱 왼쪽으로는 산신탱이 안치되어 있다. 불화는 모두 1974년 대응(大應), 동우(東祐) 금어가 그렸다. 내부에는 원불 240기가 안치되어 있다.

1999년 팔각형의 시멘트 건물로 지어진 약사전은 외부 단청까지 되어 있으며 외벽에는 산수, 화훼, 화조 등을 내용으로 하는 벽화가 8면에 그려져 있다. 8각 지붕 위에는 높이 4m의 약사여래불이 아래쪽 낙동강 하구를 굽어보고 있다. 내부에는 약합을 들고 있는 약사여래 원불이 500불이 모셔져 있다. 대웅전 뒤 바위에 면한 자리에 높이 63㎝의 석조 여래 좌상이 있다. 미륵불로 불리는 불상은 마모가 있으나 대웅전 석조 여래 좌상과 더불어 약수암의 중요한 성보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