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6115 |
---|---|
한자 | 媤- |
영어의미역 | Song of Keeping House in the Parent-in-law´s House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장전리 |
집필자 | 홍혜정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장전리에서 부녀자들이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노래한 비기능요.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승찬·박경수·황경숙 등이 집필하고 세종출판사에서 간행한 『부산 민요 집성』에 실려 있다. 이는 공저자들이 1997년 1월 13일에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장전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김가분[여, 83]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시집살이 노래」(3)은 독창으로 불리며, 4음보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처음 시집간 며느리가 겪은 실수와 이를 면박 주는 시댁 식구들의 모습을 해학적으로 표현했고, 작품 말미에 두 사돈이 화해하는 장면이 그려진다.
[내용]
망개망개 구망개야 칠첩망개 최대롱아/ 딸로딸로 곱기낳여 넘우집에 보낼적에/ 찰떡메떡 두당시기 소주약주 두두리미/ 맹태동태 두당시기 소구통 두당시기/ 조그만은 암소등에 허리휘청 싣고갔네/ 시집이라 살다보니 시집가던 한달만에/ 양동우로옆에끼고 샘이질에 나가는데/ 열두대문 건니가주 만화대문 건니다가/ 처매끼에 걸리어서 양동우로 깨였구나[후략].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시집살이 노래」(3)은 부산광역시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시집살이의 비애와 고난을 인내하고 극복하려는 목적으로 부른 노래이다. 일반적으로 여자들끼리 모여 노는 유희의 공간에서 불렸다.
[현황]
시집살이의 가장 큰 고통은 고부 갈등과 가사 노동이다. 이는 현대의 여성들에게도 공감을 줄 수 있다. 현대 사회에 들어 부녀자들의 감정 교류의 기회가 줄어들면서 전승이 어려워지기는 하였으나, 「시집살이 노래」(3)은 다른 민요에 비해서는 다소나마 구연이 이루어지는 편이다.
[의의와 평가]
「시집살이 노래」(3)은 며느리의 작은 실수도 용서하지 않는 시부모의 태도를 비난하는 동시에, 마지막에는 양가 부모가 화해하는 장면을 통해 화합과 이해의 여지를 보여 주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