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시집살이 노래」(6)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112
한자 媤-
영어의미역 Song of Keeping House in the Parent-in-law´s Hous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집필자 홍혜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
기능구분 비기능요
형식구분 독창
박자구조 4음보
가창자/시연자 미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12월 31일 - 일광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일광면지』에 수록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에서 부녀자들이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노래한 비기능요.

[채록/수집 상황]

2006년 일광면지편찬위원회에서 펴낸 『일광면지』에 실려 있다. 「시집살이 노래」(6)은 부산광역시 지역을 포함한 영남 지방에서 유행하던 민요인데, 이 자료는 박인권 [동주대학교 명예 교수]이 제공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시집살이 노래」(6)은 독창으로 불리며, 서사 민요의 특징인 4음보 연속으로 이루어진다. 친정 부모가 시집가는 딸에게 올바른 처신을 당부하는 내용에 이어 시댁 식구와 겪는 갈등이 주된 내용을 이루고 있다.

[내용]

[전략] 성아성아 사촌성아 시집살이 어떻든가/ 시아버시 아망빡에 칼자루박아도 숭을보고/ 챙이에다 불담는것도 우습다고 숭을보니/ 말도말아 말도말아 시집살이 말도말아/ 새벽서리 찬바람에 울고가는 외기럭아/ 동남갓을 향해가나 동해서산 향해가나/ 우리집을 들거들랑 이내말을 전해주오/ 우리어매 묻거들랑 옷을벗고 우드라고[후략].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시집살이 노래」(6)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대표적인 여성 민요로서, 부녀자들이 겪는 삶의 고통과 문학적 상상력이 잘 표현되어 있는 노래이다. 일반적으로 여자들끼리 모여 노는 유희의 공간에서 불렸다.

[현황]

시집살이의 가장 큰 고통은 고부 갈등과 가사 노동이다. 이는 현대의 여성들에게도 공감을 줄 수 있다. 현대 사회에 들어 부녀자들의 감정 교류의 기회가 줄어들면서 전승이 어려워지기는 하였으나, 「시집살이 노래」(6)은 다른 민요에 비해서는 다소나마 구연이 이루어지는 편이다.

[의의와 평가]

「시집살이 노래」(6)은 여성이라면 대부분 공감할 법한 시집살이의 고통을 절절하게 나타내면서도 해학적인 표현을 통해 서민적인 웃음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문학적 가치를 지니는 노래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