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시민미술학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104
한자 市民美術學校
영어의미역 Fine Art School for Citizens
분야 역사/근현대,문화·교육/문화·예술,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종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대중적 미술 교육 프로그램
관련인물/단체 곽영화 등
발생|시작 시기/일시 1989년 1월 28일연표보기 - 시민미술학교 개설
종결 시기/일시 1990년 - 종료
발생|시작 장소 부산미술운동연구소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종결 장소 부산미술운동연구소 - 부산광역시 진구 양정동 394-31지도보기

[정의]

1989년 부산미술운동연구소에서 개설한 대중적 미술 교육 프로그램.

[역사적 배경]

1984년 무렵 미술의 대중화를 지향하는 활동가에 의해 시민미술학교가 개최되었으나, 당시의 어려운 문화 운동의 조건과 처지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1989년 초반 부산미술운동연구소는 현장 미술 활동을 구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적 구성을 완료하였다. 이에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현장 미술 활동의 하나로 판화, 만화 제작 등을 하는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펼치게 된다.

[경과]

1989년 1월 28일부터 부산미술운동연구소가 개최한 공식적인 첫 번째 시민미술학교가 개설되었다. 강습 내용은 판화, 만화, 그림 놀이의 실기와 슬라이드를 통한 미술 이야기였다. 3월에는 89 임투 승리를 위한 ‘임투문화학교’를 운영하고, 결과물로 자료집 『임투 문화』를 발행하였다. 이런 변화는 부산미술운동연구소의 지향점을 명확하게 한 것이었다. 이후 공식 모임은 약 1년 동안 지속되었다.

참가자 가운데 20여 명은 1991년 2월 부산미술운동연구소가 해체할 때까지 소모임을 이어갔다. 이외에 수료생들은 ‘우리’라는 그림 소모임을 만들어 1990년 3월 25일 부산미술운동연구소 그림 터에서 작품 전시회를 가졌다. 이 소모임은 부산미술운동연구소의 회원 수련회[MT]나 야유회에 동참하는 등 연구소 회원들과도 돈독한 관계로 발전하여, 탄압 국면에서 지지와 연대뿐 아니라 일상생활을 같이 하였다.

[의의와 평가]

시민미술학교는 일반 시민을 문화의 주인공으로 인식하고, 대중적인 현장 미술 교육을 통해 실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