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선암사 승탑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6024
한자 仙巖寺僧塔院
영어의미역 Seungtapwon at Seonamsa Temple
이칭/별칭 선암사 석종,선암사 부도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산로 138[부암3동 628]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근대
집필자 정윤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승탑군
양식 석종형 승탑군
소유자 선암사
관리자 선암사
현 소재지 선암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 3동 628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 3동 선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부터 근대에 세운 승탑.

[건립 경위]

조선 후기가 되면 승탑 건립의 조성 체계가 무너지면서 대부분의 승려가 입적 후 승탑을 조성하는데, 선암사에 위치한 여러 개의 사리탑 또한 그러한 맥을 이은 것으로 보인다.

[위치]

선암사 승탑원(仙巖寺僧塔院)선암사 경내 종각 옆에 단을 두어 조성하였다. 소재지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 3동 628번지이다.

[현황]

선암사 승탑원은 일정한 구역을 나누지 않은 채 5기의 석종형(石鍾型) 승탑과 탑비를 일렬로 배치시켰다. 현재 석종형의 선암사 승탑원 김씨 대각월 사리탑(仙巖寺僧塔院金氏大覺月舍利塔)·선암사 승탑원 황씨 보명화 사리탑(黃氏譜明華舍利塔)·일명 승탑(逸名僧塔)·선암사 승탑원 동은당 사리탑(仙巖寺僧塔院東隱堂舍利塔)·선암사 승탑원 배혜담 사리탑(仙巖寺僧塔院裴慧潭舍利塔)선암사 승탑원 부종수교 선교 양종 대교사 동은당 원규 방광 사리탑비(仙巖寺僧塔院扶宗樹敎禪敎兩宗大敎師東隱堂元奎放光舍利塔碑) 1기가 남아 있으나 정확한 조성 경위는 알 수 없다.

[의의와 평가]

선암사 내에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금고(金鼓)와 1920년대에 제작된 범종(梵鍾)·「선암사 괘불탱(仙巖寺掛佛幀)」 등 조선 후기부터 근대에 이르는 유물이 일부 확인된다. 조선 후기부터 근대의 승탑이 모셔진 승탑원 또한 선암사가 동시기에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는 것을 입증하는 가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