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진 향토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898
한자 釜山鎭鄕土誌
영어의미역 Rural Area Record of Busanjin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토지
편자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간행자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표제 부산진 향토지
간행 시기/일시 1989년 12월 23일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청 자료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시민공원로 30지도보기
간행처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1989년 발행한 향토지.

[편찬/간행 경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는 1957년 구제(區制)가 실시되면서 개청되었다. 부산진구에서는 개청 이후 40여 년간의 변화·발전상을 정리하여 차후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1989년 12월 23일 『부산진 향토지(釜山鎭鄕土誌)』를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청 자료실과 부산광역시청 시정 정보 자료실 등 부산 지역 공공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가로 20㎝, 세로 26㎝ 크기로, 총 701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내용]

『부산진 향토지』부산진구의 역사와 문화 제 분야 전반을 대상으로 하여 서술되었다. 먼저 ‘총론’ 편에서는 부산진구의 자연 환경과 연혁 등을 개관하였고, ‘문화재 및 명소’ 편에서는 부산진구 관내의 문화재와 유적지, 명소를 소개하였다. ‘역사’ 편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부산진구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동 내력’ 편에서는 부산진구 관내 동 내력과 현황을 소개하고, ‘행정’ 편에서는 부산진구 행정 약사와 재정, 경찰, 소방, 사회 복지, 보건 위생, 상수도, 주택, 반상회 운영 등을 다루었다. 기타 ‘산업 경제’, ‘교통 통신’, ‘정치’, ‘교육’, ‘사회 문화’ 등의 현황도 소개하고 있다. 부록으로는 부산 지역의 옛 모습을 담은 화보를 수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1957년 부산진구가 설치된 이후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소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지역민들에게 고장에 대한 자긍심과 애향심을 고취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