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보사불망단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745
한자 補寺不忘壇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Cherishing a Memory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정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보사비
재질 자연석
크기 131㎝[너비]|150㎝[높이]
소유자 범어사
관리자 범어사
현 소재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보사비(補寺碑).

[건립 경위]

보사불망단비(補寺不忘壇碑)는 정확한 연대를 확인할 수 없으나 범어사의 승려들이 보사(補寺) 활동을 하고 이를 기록하여 새긴 것이다. 보사는 승려들이 금전이나 전답을 사찰에 헌납하여 경제적 재원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승려들의 직명으로 보아 조선 후기의 자료로 추정된다.

[위치]

부산 범어사 조계문과 천왕문 사이의 비림(碑林)에 있다.

[형태]

자연석으로 너비 131㎝, 높이 150㎝이다.

[금석문]

“대각 등계 황봉당 대사 대영 보사불망단 은첨일사 발종지시 덕산숭□ 실출사애 전 승통 가선대부 성백 견역 보사불망단 태장경사 보사갈침 덕심연해 은기금잠 가선대부 윤행 보사은 가선대부 묘심 보사은(大覺登階黃峰堂大師大榮補寺不忘壇 恩添一寺 發從指示 德山崇□ 悉出師哀 前僧統嘉善大夫成伯蠲役補寺不忘壇 泰章京司 補寺竭枕 德深蓮海 恩崎金岑 嘉善大夫允行補寺恩 嘉善大夫竗心補寺恩)”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부터 승려들이 다양한 형태로 보사 활동을 하였다. 보사불망단비는 사찰계 이외에도 승려들이 개인적으로도 보사 활동을 하였음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