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바람아 바람아 불어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642
영어의미역 Blow, Blow, the Wind
이칭/별칭 「대추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집필자 박경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유희요
기능구분 유희요|동요
형식구분 독창|제창
가창자/시연자 최상수[미상]
채록 시기/일시 1926년 8월 - 최상수[미상]로부터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12월 30일 - 부산직할시 동래구에서 간행한 『동래향토지』에 수록.
채록지 동래군 동래읍 교동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아이들이 대추를 주우면서 부르는 유희요.

[개설]

「바람아 바람아 불어라」는 아이들이 바람에 떨어진 대추를 주우면서, 또는 더 많은 대추가 떨어지도록 바람이 많이 불어 주기를 원하면서 부르는 동요이다. 이를 「대추 노래」라고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1993년 부산광역시 동래구에서 간행한 『동래 향토지』의 132~133쪽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26년 8월에 당시 동래군 동래읍 교동[현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거주하는 주민 최상수의 구송을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바람아 바람아 불어라」는 혼자 또는 여럿이 부르는 아이들의 동요이다. 3마디로 된 노래를 약간 빠르게 부른다. 「바람아 바람아 불어라」는 6마디로 된 사설이 두 줄[행]로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 가창되는 노래 구성은 3마디씩 네 줄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바람이 많이 불어 대추가 빨리 떨어지기를 바라는 아이들의 마음을 표현한 다음, 이를 주워서 어른에게 보이고 빨리 먹고 싶다는 생각을 나타내고 있다.

[내용]

바람아 바람아 불어라/ 때추야 때추야 너얼찌가라/ 아해야 아해야 조아라[주워라]/ 어른아 어른아 묵어라.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옛날 아이들에게 산과 들을 돌아다니면서 과실나무의 열매를 따서 먹는 것은 하나의 놀이였다. 동시에 그렇게 수확한 열매는 먹을 것이 부족한 시대에는 거의 유일한 간식이 되기도 했다.

[현황]

오늘날 대추를 줍는 아이들은 보기 어렵다. 아이들의 전통적인 놀이 풍속이 거의 사라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아 바람아 불어라」도 그만큼 듣기 어려운 노래가 되었다.

[의의와 평가]

「바람아 바람아 불어라」를 통하여 전통 사회에서 행해졌던 아이들의 대추 줍는 풍속을 알 수 있다. 점차 사라져 가는 아이들의 놀이 문화를 알 수 있는 자료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