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민주화추진협의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629
한자 民主化推進協議會
영어의미역 the Council for the Promotion of Democracy
이칭/별칭 민추협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오재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정치 단체
설립자 김영삼|김대중
설립 시기/일시 1984년 5월 18일연표보기 - 설립
해체 시기/일시 1987년연표보기 - 해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2년 - 재창설
최초 설립지 서울특별시
지역 조직 부산광역시

[정의]

1984년 김영삼(金泳三)과 김대중(金大中)을 중심으로 발족되어 부산 등지에 조직을 둔 재야 정치 단체.

[설립 목적]

민주화추진협의회는 전두환(全斗煥) 정권의 독재에 저항하고 이듬해의 12대 총선에서 승리하기 위해 재야 민주 정치 세력을 연합하고자, 1984년 5월 18일 김영삼과 김대중을 지지하는 야당 인사들이 연합하여 설립하였다.

[변천]

1979년 박정희(朴正熙) 정권에 의해 국회 의원에서 제명되고 가택 연금을 당한 신민당 전 총재 김영삼은 1983년 5·18 민주화 운동 3주년을 기해 민주화 5개 항을 내걸고 무기한 단식을 시작하였다. 당시 미국에 있던 김대중은 김영삼을 지지하는 성명과 언론 기고문을 발표하고, “김영삼을 구출하라”는 내용의 시위를 하는 등 김영삼에 대한 지지를 분명히 하였다. 이에 정권에 의해 가택 연금이 풀린 김영삼은 김대중과 함께 공동 성명 ‘38번째의 8·15를 맞으며’를 발표하고 정치범과 양심범의 석방 및 복권, 제적된 학생과 해임된 교수의 복교와 복직, 추방된 언론인의 복직, 언론 자유의 보장, 정치 활동의 금지를 해제할 것 등을 요구하였다.

나아가 김영삼의 상도동계 인사들은 친목 모임인 민주산악회(民主山岳會)를 구성하는 한편 김대중의 동교동계와 제휴를 모색하였다. 그리하여 동교동계[김녹영·박성철·박종률·김상현·김윤식]와 상도동계[이민우·최형우·윤혁표·김명윤·김동영]인사 각각 5명이 참여한 10명의 소위원회가 구성되고, 양 계열의 합작으로 1984년 5월 18일 민주화추진협의회[약칭 민추협]가 설립되었다. 민주화추진협의회는 김영삼과 김대중[미국에 머물던 김대중을 대신하여 김상현이 권한 대행으로 활동]을 공동 의장으로 하고, 부의장 19명, 운영 위원 452명, 16개국, 32개 부서를 갖춘 조직으로 탄생하였다.

1984년 말에는 해금(解禁)된 인사들로 인력을 보강하여 조직을 강화하고, 12월 20일 신한민주당(新韓民主黨)을 창당하였다. 1985년 신한민주당이 제1야당으로 부상한 뒤에도 민주화추진협의회는 김영삼, 김대중의 원외 활동 기반으로 신민당과 관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1987년 ‘이민우 구상’과 내각제 개헌 주장 등으로 신한민주당이 분열하고 김영삼과 김대중이 통일민주당을 창당하게 되면서 민주화추진협의회의 역할은 축소되었다. 이윽고 12월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정 문제로 김대중이 탈당하여 평화민주당을 창당함으로써 민주화추진협의회는 해체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1984년 5월 18일 공동 의장의 이름으로 ‘민주화 투쟁 선언’을 발표하였으며 각종 성명서 및 기자 회견을 통해 반(反)정부 활동을 전개하였다. 처음부터 정치 활동 재개를 위한 사전 조직의 성격을 갖고 있었던 정치 단체로, 인적 구성에서도 재야 세력 중 비정치인은 배제했으며, 조직의 규약이나 강령도 채택하지 않았다.

[현황]

2002년 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을 고문으로 한 법인체를 만들어 재창립하였다. 당시 이사장은 김상현·김명윤, 회장은 김덕룡·김병오가 맡았다. 2007년에는 17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희부 부이사장 등 33명이 박근혜(朴槿惠) 후보 지지 선언을 하기도 하였다.

[의의와 평가]

민주화추진협의회박정희·전두환 독재 정권 아래에서 재야에 흩어져 있던 민주 정치 세력을 김영삼·김대중을 필두로 결집시켰으며, 범민주 세력의 단합을 이끌어 내고 1985년 총선에서 야당이 승리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사상적·조직적 통합을 이루지 못한 정치 단체라는 한계는 양김[김영삼·김대중]의 분열을 가져왔으며, 나아가 각각을 지지하는 재야 민주 세력의 분열로 인해 1987년 대선에서 다시 군부 정권이 집권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