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무자갑보사단비[1947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581
한자 戊子甲補寺壇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Muja Gapbosa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갑계비|보사비
재질 자연석
크기 72.5㎝[너비]|243.5㎝[높이]
소유자 범어사
관리자 범어사
건립 시기/일시 1947년연표보기 - 건립
현 소재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범어사 갑계의 활동을 기록한 비.

[개설]

갑계(甲契)란 불교 사찰에 거주하는 동갑 또는 비슷한 연령의 승려들이 조직했던 계를 가리킨다. 동갑계(同甲契)라고도 한다. 사찰계의 한 형태로, 큰 사찰에는 10여 종 이상의 사원계가 동시에 조직되어 있기도 하였다. 계원이 승려만으로 구성되고 그 목적이 보사(補寺)[사찰을 지원함]에 있었던 계로는 갑계·도종계(都宗契)·사종계(私宗契)·어산계(魚山契) 등이 있었는데, 그중 갑계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건립 경위]

1947년 범어사 승려들이 무자갑계(戊子甲契)를 조직하였다. 여기에는 22명의 승려가 참여하였고, 논 50마지기[斗落]와 돈 5,000원(圓)을 헌납하였다. 무자갑보사단비(戊子甲補寺壇碑)는 이러한 내용을 기록하여 1947년 5월에 세운 것이다.

[위치]

부산 범어사 조계문과 천왕문 사이의 비림(碑林)에 있다.

[형태]

자연석으로 너비 72.5㎝, 높이 243.5㎝이다.

[금석문]

“무자갑보사단. 전 주지 구해당 두한, 일능당 성안, 영호당 재우, 운경당 경훈, 화봉당 성준, 용명당 지훈, 연봉당 재훈, 해명당 상호, 성암당 영휘, 침해당 수학, 능파당 영진, 원전당 도순, 운파당 정하, 일우당 혜주, 월호당 용안, 일허당 성홍, 월화당 경문, 보운당 경순, 만담당 한주, 원봉당 광우, 월해당 정선, 논 50마지기와 돈 5,000원을 헌납하다. 불기 2974년 정해 5월 일, 도감 일운당 홍식.[戊子甲補寺壇 前住持九海堂斗翰 一能堂性安 映湖堂載佑 雲耕堂敬訓 華峰堂成畯 龍溟堂志勳 蓮峰堂載訓 海明堂尙昊 惺庵堂永輝 枕海堂秀學 能坡堂永眞 圓田堂度淳 雲坡堂禎夏 一宇堂慧柱 月湖堂龍安 一虛堂性弘 月華堂敬文 寶雲堂敬順 滿潭堂漢周 圓峰堂廣佑 月海堂精善 獻畓五十斗地 獻金五千圓也 佛紀二九七四年 丁亥 五月日 都監一雲堂洪植.]”

[의의와 평가]

범어사는 조선 후기부터 갑계의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사찰로, 무자갑보사단비는 해방 직후 범어사 갑계의 상황을 잘 보여 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