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무자갑보사단비[1874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580
한자 戊子甲補寺壇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Mujagabosadan [1874]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정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갑계비|보사비
재질 자연석
크기 104㎝[너비]|212㎝[높이]
소유자 범어사
관리자 범어사
건립 시기/일시 1874년 1월연표보기 - 건립
현 소재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개항기 범어사 갑계의 활동을 기록한 비.

[개설]

갑계(甲契)란 불교 사찰에 거주하는 동갑 또는 비슷한 연령의 승려들이 조직했던 계를 가리킨다. 동갑계(同甲契)라고도 한다. 사찰계의 한 형태로, 큰 사찰에는 10여 종 이상의 사원계가 동시에 조직되어 있기도 하였다. 계원이 승려만으로 구성되고 그 목적이 보사(補寺)[사찰을 지원함]에 있었던 계로는 갑계·도종계(都宗契)·사종계(私宗契)·어산계(魚山契) 등이 있었는데, 그중 갑계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건립 경위]

1874년(고종 11) 1월 범어사의 승려들이 무자갑계(戊子甲契)를 조직하고 논 127마지기[斗落]와 돈 700냥을 헌납하였다. 여기에는 11명의 승려가 참여하였다. 무자갑보사단비(戊子甲補寺壇碑)는 이러한 내용을 기록하여 1874년 1월에 새긴 것이다.

[위치]

부산 범어사 조계문과 천왕문 사이의 비림(碑林)에 있다.

[형태]

자연석으로 너비 104㎝, 높이 212㎝이다.

[금석문]

“무자갑보사단. □[전] 승통 상문, □운당 승연, 응송당 찬유, 효산당 정첨, 우용당 천오, 전 승통 문언, 전 화상 상엽, 전 화상 오준, 전 화상 체진, 전 수승 정식, 불전좌 성한, 논 127마지기와 돈 700냥을 헌납하다. 숭정 기원후5 갑술년 정월 일.[戊子甲補寺壇 □僧統尙文 □雲堂勝涓 應松堂燦裕 曉山堂正添 雨龍堂天悟 前僧統文彦 前和尙尙曄 前和尙悟俊 前和尙軆眞 前首僧㝎植 佛典座性閒 獻畓壹佰貳十柒斗地 錢柒佰兩 崇禎紀元後五 甲戌正月日.]”

[의의와 평가]

범어사는 조선 후기부터 갑계의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사찰로, 무자갑보사단비는 개항기 범어사 갑계의 상황을 잘 보여 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