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상장안 유적 출토 염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284
한자 上長安遺蹟出土念珠
영어의미역 Buddhist Prayer Beads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Sangjangan
이칭/별칭 기장 상장안 자기 유적 출토 염주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상장안 마을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홍보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염주
재질 자기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출토|발굴 시기/일시 2009년 9월 15일~2009년 12월 24일연표보기 - 상장안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 실시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상장안 유적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상장안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상장안 마을의 상장안 유적에서 출토된 조선 전기의 염주.

[개설]

상장안 유적 출토 염주(上長安遺蹟出土念珠)는 15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2009년 9월 15일부터 12월 24일까지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이 백자이며, 분청사기 염주(念珠)는 염주 도지미[陶枕, 가마에서 도기를 구울 때 도기를 놓는 받침]에 붙어 있는 한 점의 예가 확인되었다. 염주 도지미는 가마 벽체를 보호하기 위해 인공으로 만든 판축토 내부와 상장안 유적 1호 가마 폐기장 내부에서 여러 점 출토되었다. 염주 도지미는 원반형의 점토판에 흙으로 바늘 모양[針狀]의 침을 박은 것, 마치 키세스초콜릿 모양의 침을 붙인 것, 그리고 점토판에 홈을 만들어 염주를 놓은 것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세 종류의 염주 도지미 중 원반형의 점토판에 바늘 모양의 침 수십여 개를 꽂고, 침 위에 염주를 꽂아 소성하는 방식이 가장 많다. 염주 도지미에 꽂인 침이 대부분 떨어져 나갔고, 일부는 끝에 염주 편(片)이 붙어 있다든지 염주의 구멍에 도침의 침 끝이 붙어 있는 예도 확인된다. 다음은 얇은 점토판 위에 홈을 만들어 염주를 홈 위에 놓고 소성한 방식이 그 뒤를 잇는다. 점토판 위에서 염주를 소성한 방식은 염주와 도지미 판이 붙는 면적이 넓어 소성 시 융착되어 불량품이 많을 개연성이 있는데, 실제 점토판의 도지미에는 염주가 달라붙은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염주 도지미의 출토 수량과 실제 사용 흔적 등을 관찰해 볼 때, 점토판 위에 바늘 같은 침의 도지미를 꽂고, 염주를 침에 꽂아 소성한 방식이 실패율이 낮고 불량품이 많이 생기지 않아 선호한 방식으로 추정된다. 염주 도지미는 1회만 사용되었다. 또한 폐기장에서 출토되는 염주 도지미 중에는 분청사기 대접 안에 흙과 자갈을 채우고, 그 위에 염주 도지미를 올려 소성한 예도 확인된다. 현재 상장안 유적 출토 염주는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분청사기 가마에서는 지름 12x15㎜ 내외의 백색을 띠는 둥근 구체의 염주가 다량 출토되었다. 염주는 지름 1㎝ 내외의 원구형으로, 중앙을 관통하는 원통형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이다. 염주는 초벌구이한 것과 두벌 구이한 것이 확인되는데, 초벌구이한 것은 옅은 회자색 기가 있다. 염주는 전체적으로 백색의 유조를 띠나, 일부는 유약이 뭉쳐 있거나 이물질이 달라붙어 청백색의 유조를 띠는 부분도 있다.

[의의와 평가]

상장안 유적에서 다수 출토된 염주와 염주 도지미는 지금까지 조사된 전국의 분청사기 가마는 물론 백자 가마에서도 확인된 예가 거의 전무하다. 그리고 조선 전기의 분묘나 생활 유적 조사에서 상장안 유적에서 출토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염주가 확인된 예가 알려지지 않아, 소형의 백색 구체의 소성물이 정말 염주인지에 대해서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상장안 유적과 가까운 거리에 장안사(長安寺)가 위치하는데, 이 장안사에 공급하기 위해 염주를 제작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상장안 유적에서 출토된 염주와 염주 도지미를 통해 염주의 제작에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으리라 추정되며, 이를 통해 염주의 소성 기법을 복원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